숲노래 마음노래

귀신과 신



‘귀신’이 있는지 없는지 궁금하다면 ‘신’이 있는지 없는지 가만히 헤아려 보렴. ‘귀신’이란 “스스로 ‘신’인 줄 잊는 바람에, 스스로 ‘신’인 길을 잃고서 스스로 ‘신’을 모르는 채 헤매느라 뭘 어찌해야 하는가를 다 빼앗긴(남한테 바친) 넋“이야. 그렇다면 생각하렴. ‘신’이란 “스스로 누구인 줄 또렷이 새기면서, 스스로 어느 삶길을 가야 하는 줄 알아차려서 스스로 무엇이든 짓고 사랑하면서 누구한테나 어디에서나 사랑을 펴며 스스로 웃고 춤추고 노래하는 넋”일 테지. 해맑게 뛰노는 아이한테서 왜 ‘하늘님’을 볼 수 있는지 생각하렴. 찢어지게 가난한 살림이라 하지만 활짝 웃으면서 해바람비를 먹을 뿐 아니라, 콩 한 톨을 이웃하고 나누는 사람한테서 왜 ‘하늘빛’을 느낄 만한지 생각해 봐. ‘하늘숨결’은 저 너머에 있지 않아. ‘하늘사람’은 누구나야. 누구나 “하늘을 품어 빛나는 넋”이야. 그러니 ‘산 몸뚱이’를 입었더라도 스스로 “하늘을 안 품고 안 빛나는 넋”이라면 ‘신’이 아닌 ‘귀신’이지. ‘죽어가는 몸뚱이’를 입었더라도 “하늘을 기꺼이 고스란히 품으며 웃음·노래·춤으로 깨어나는 넋”이라면 모두 ‘신’이야. 스스로 빛을 잃거나 빼앗기거나 남한테 바치는 이들은 ‘죽은 낯빛’이란다. 이들한테는 웃음·노래·춤이 없이 차갑고 싸늘하고 거칠지. ‘TV·영화’ 같은 데에서 억지로 꾸미는 몸짓은 웃음·노래·춤이 아니야. 몽땅 눈속임에 거짓(껍데기)이지. 네가 ‘님(신)’인 줄 스스로 못 느끼면 바로 너부터 ‘미친깨비(귀신)’란다. 2022.1.6.나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