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8.28.


《아무튼, 언니》

 원도 글, 제철소, 2020.7.20.



제주에서 이틀째 아침을 맞는다. 지난밤에 마당에 서서 별빛을 헤아렸다. 문득 돌아보자니, 제주는 별바라기를 하기에 좋은 곳일 만한데, 여기저기에 불빛이 너무 많다. 불빛에 별빛이 잡아먹힌다면 풀꽃나무도 숨쉬기 힘들리라. 아침에 작은아이가 하늘소 주검을 찾았다. 하늘소는 단단몸을 내려놓고 새길로 떠났구나. 〈그림책카페 노란우산〉에서 낮나절에 이야기꽃을 펴고서, 글쓰는 할머니 김재용 님을 만난다. 바깥에서 사흘을 지내자니 작은아이는 부릉이가 고단하다. 시골집에서는 늘 걷지만, 뭘 하려 해도 부릉이를 타야 하는 바깥마실이다. 마을책집 〈책대로〉에 들르고서 셈틀칸(PC방)에 간다. 작은아이는 셈틀칸이란 데가 무척 궁금하단다. 길에서 안 보이던 제주 푸름이·젊은이가 바글바글하다. 사납고 거친 말씨가 춤춘다. 히유. 한숨을 짓고 나온다. 《아무튼, 언니》를 읽었다. 틀림없이 나아지는 길이되 아직 먼 어깨동무(성평등)를 생각한다. ‘언니’는 순이뿐 아니라 돌이도 손위를 가리킬 적에 쓰는 이름이나, 어느새 순이만 써야 하는 듯 여긴다. 아무튼, 이 책은 ‘언니’ 이야기라기보다는 ‘기대고픈 사람한테 기대는 글쓴이 발자국’을 들려준다. ‘언니’라는 대목에 조금 더 마음을 기울이지 못 하니 아쉽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