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동나라의 황금색 털뭉치 11
시노마루 노다카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20년 10월
평점 :
품절


숲노래 만화책 2022.9.9.

책으로 삶읽기 781


《우동나라의 황금색 털뭉치 11》

 시노마루 노다카

 최윤정 옮김

 학산문화사

 2020.10.25.



《우동나라의 황금색 털뭉치 11》(시노마루 노다카/최윤정 옮김, 학산문화사, 2020)를 읽었다. 아이·어버이·동무·이웃·마을·숲이 얽힌 이야기를 차근차근 풀어내면서 막바지에 이른다. 어버이가 낳아 돌보는 숨결이기에 아이요, 나이가 들어 어른이란 자리에 설 적에도 어린날 누린 사랑을 기쁘게 돌아보면서 새롭게 펼 줄 알기에 아이라 할 만하다. 사람 곁에는 사람인 동무하고 이웃도 있으나, 사람이 아닌 숲짐승이며 풀꽃나무라는 동무하고 이웃도 있다. 마을이라 할 적에는, 사람이 사는 집만 모였다는 뜻이 아니다. 숲을 품고 숲짐승을 안으며 풀꽃나무하고 흐드러지기에 비로소 마을이라고 한다. 오늘날 서울(도시)이란 얼거리라면 마을하고 멀다. 사람들 사이가 메마르거나 팍팍한 탓을 보라. 벼슬꾼(공무원)이나 우두머리(대통령·지도자)가 어리석은 모습을 보라. 적잖은 글바치가 돈·이름·힘에 끄달리는 얼거리를 보라. 참다운 사람빛을 잃은 사람을 보면, 하나같이 서울(도시)에서 산다. 숲하고 풀꽃나무를 잊거나 버린 채, 숲짐승이며 풀꽃나무가 이웃인 줄 모르는 쳇바퀴에서 허덕인다. 숲을 잊기에 돌림앓이에 갇히는 사람일 테며, 숲을 등지기에 부스러기(지식)에 매달리며 싸우는 사람이다. 숲을 품고 돌보기에 빛나는 사람일 테며, 숲빛으로 살림을 가꿀 줄 안다면, ‘너구리 아이’가 ‘너구리 아이’로 곁에서 함께 살아가는 줄 마음으로 언제나 알아차리리라.


ㅅㄴㄹ


“아니, 뭐, 지금 그대로도 괜찮지 않나요? 나도 까다로운 성격은 아버지를 닮아서, 피는 못 속인다고나 할까. 게다가 난 오늘 즐거웠어요.” (27쪽)


‘그러고 보니 난, 애써 앞날을 생각하지 않으려 했던 게 아닐까. 변함없는 매일이 앞으로도 쭉 이어질 거라 믿고 싶었다. (58쪽)


‘내내 신기하다고 생각했다. 어째서 포코는 내게로 왔을까. 뭔가, 이유가 있지 않을까.’ (83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うどんの国の金色毛鞠 #篠丸のど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