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는 어디에서 오나요 웅진책마을
구드룬 파우제방 지음, 김중철 옮김 / 웅진주니어 / 200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어린이책 2022.8.19.

맑은책시렁 279


《평화는 어디에서 오나요》

 구드룬 파우제방

 신홍민 옮김

 김중철 엮음

 웅진닷컴

 1997.4.20.



  《평화는 어디에서 오나요》(구드룬 파우제방/신홍민 옮김, 웅진닷컴, 1997)를 1999년에 처음 만났어요. 책이름을 이처럼 아름다이 붙일 수 있어 놀라웠고, 어린이부터 누구나 차근차근 되새길 이야기가 사랑스러워 반가웠습니다. 이때 뒤로 이 책을 둘레에 꽤 건네었고, 알렸고, 들려주었습니다.


  어느덧 두 아이를 돌보는 어버이라는 나날을 살며, 우리 집 아이하고도 함께 읽습니다. “너희는 어떻게 읽었니? 이 책에 나오는 미움하고 눈물이 어떤 뜻이라고 생각하니?” 빙그레 웃기만 하는 아이들한테 더 묻지 않습니다. 스스로 느낄 수 있으면 넉넉해요. 천천히 돌아보면서 마음 가득 어깨동무를 품으면 되어요.


  한자말 ‘평화’는 우리말로 하자면 ‘손잡기’나 ‘어깨동무’입니다. 손을 잡기에 평화예요. 서로 손을 잡아야 이 손에 총칼을 못 쥐지요. 아니, 서로 손을 잡기에 따사로이 흐르는 숨결을 서로 느끼고, 이 숨결을 받아들이면서 함께 소꿉놀이를 짓는 길을 생각할 만합니다.


  어깨동무이기에 평화예요. 어깨를 겯으며 걸어야 안 다투지요. 아니, 서로 어깨를 겯도록 눈을 맞추고 키를 살피며 발걸음을 추스릅니다. 나란히 걸으면서 함께 바람을 쐬어요. 천천히 걸으며 도란도란 이야기를 하지요. 한 걸음 두 걸음 내딛으면서 온몸으로 마음이 타고 흐릅니다. 함께 살아가는 터전을 곱새깁니다.


  손을 안 잡는 이들은 으레 총칼을 쥐더군요. 어깨동무를 안 하는 이들은 으레 혼자 돈·이름·힘을 거머쥐더군요.


  다 훌훌 털 수 있을까요? 총칼로 이웃을 죽이면 즐거운가요? 총칼로 풀꽃나무를 쓰러뜨리고 숲을 망가뜨리면 숨을 어떻게 쉬고 먹을거리를 어디서 얻나요?


  혼자 돈·이름·힘을 차지하니 배부른가요? 빵빵거리면서 골목을 부릉부릉 달리니 신나는지요? 사람만 다녀야 할 길이 아니요, 쇳덩이를 더 빨리 보내야 할 길이 아닙니다. 개미도 다니고 고라니도 건너도 바람도 흐르고 비랑 눈도 내려앉을 길입니다. 씨앗이 싹이 트고 나무가 자랄 길이에요.


  사랑을 마음에 심기에 손잡기·어깨동무·눈맞춤이라는 사랑이 하나둘 깨어납니다. 사랑을 생각하기에 서로 즐겁게 어우러질 길을 하나씩 찾아나섭니다. 부릉이(자가용)를 버릴 줄 알면 총칼이 사라져요. 두 다리로 걷거나 자전거로 달릴 줄 알면 총칼이 들어설 틈이 없어요. 아이 곁에서 함께 살림을 지으면서 어버이로서 어른으로서 사람으로서 늘 사랑을 속삭이고 그리기에 온누리는 푸른별이란 이름으로 눈부실 만해요.


ㅅㄴㄹ


그때 슈포르너 선생님이 나섰습니다. “너 평화를 폭력으로 강요하려는 거냐?” (35쪽)


“그럴 생각이 있으면 네 부모님이 돈을 내면 되잖아. 네 부모님은 돈이 많잖아. 너 선물도 안 받고, 생일잔치도 안 하고 그럴 거야? 난 못 해. 내가 받을 수 있는 건 다 받을 거야.” (54쪽)


“그 대신 다른 사람들보다 훨씬 더 잘 들을 수 있어. 더 잘 느낄 수 있고. 냄새도 더 잘 맡아. 손 한번 내밀어 볼래? 손만 만져 봐도 네가 몇 살이나 되었는지 알 수 있어.” (108쪽)


할아버지가 말했습니다. “전쟁을 일으키지 않는 게 가장 좋은 거지. 모두 그렇게 생각하고 있었어. 그렇지만 우리가 결정을 내릴 수는 없었어.” (127쪽)


“관세와 여권, 증명서 등을 들고 국경을 오가야 하는 연극을 그만두어야 합니다. 국경을 지키는 보초를 철수시키고, 우리 두 나라 사람들이 언제나 서로 오갈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141쪽)


두 나라 왕은 교과서를 다시 만들었습니다. 두 나라 학생들은 처음부터 새 교과서밖에 볼 수 없었습니다. 잔디나라 아이들은 숲나라 사람들이 아이를 잡아먹는다는 글을 읽고 무척 놀랐습니다. 숲나라 아이들도 잔디나라 사람들이 흡혈귀라는 글을 읽고 아주 놀랐습니다. (147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