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2022.8.11.

숨은책 741


《둥지 밖의 언어》

 이상규 글

 생각의나무

 2008.11.10.



  국립국어원 지기(대표)를 맡으며 《둥지 밖의 언어》를 써낸 이상규 님은 ‘국립국어원이 제멋대로이면서 말글을 북돋우는 길하고 동떨어진다’고 나무라는 이야기를 곳곳에 밝힙니다. 아리송합니다. 국립국어원 일꾼(직원)이 아닌 지기라는 자리에 섰다면, 그런 글을 쓸 틈에 국립국어원이 반듯하게 서도록 땀흘릴 노릇이요, 그런 글을 써도 안 바뀔 만큼 국립국어원이 엉망이라면 이런 벼슬터(공공기관)는 차라리 없애는 길이 낫지 싶어요. 더 헤아리면, 국립국어원에서 일하는 사람을 비롯해 숱한 말글지기(언아학자)는 ‘말’이라는 우리말을 쓸 생각을 아예 안 하다시피 합니다. ‘말’은 낮춤말이고 ‘언어’는 ‘번듯한 배움말(학술용어)’로 여기더군요. 새를 살피면서 ‘조류학자’라 하고, 벌레를 다루면서 ‘곤충학자’라 하는 얼거리하고 매한가지예요. 우리한테 우리말은 어디에 있을까요? 우리 스스로 ‘말’을 말답게 가꾸지 않는다면, 또 ‘말·글’이 어떤 말밑인지 차근차근 캐면서 ‘마음·그림’이라는 수수한 우리말하고 어떻게 잇닿는가를 생각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둥지를 스스로 버린 말글살이로 치닫겠지요. 그나저나 ‘생각의나무’는 ‘사재기(사기 베스트셀러)’를 일삼다가 사라진 펴냄터입니다. 창피한 나라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 나는 ‘생각의나무’란 데에서 내놓은 책을 새책으로 아예 안 샀다. 이곳은 사재기(사기 베스트셀러)를 너무 일삼았고, 툭하면 ‘지하철 떨이가게(재고매장)’에 ‘새책값을 후려친 새책’을 잔뜩 쌓아놓고 팔았다. 적잖은 사람들은 새책집만 다니는데, 헌책집을 함께 다닐 노릇이다. ‘사재기로 밀어댄 새책’이 헌책집에 얼마나 나도는가를 봐야 한다. 요새는 ‘사재기로 밀어댄 새책’이 ‘알라딘 중교샵’에 쏟아지더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