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2022.7.31.
숨은책 733
《普通敎育 提要地理學通論》
山崎直方
東京開成館
1915.4.10.첫/1921.12.2.6벌
‘중학교·사범학교’에서 배움책(교과서)으로 삼았다고 하는 《普通敎育 提要地理學通論》은 우리나라에 언제쯤 들어왔으려나 어림해 봅니다. 제가 우리나라 헌책집에서 만난 판은 “定價 金六拾壹錢”이되 “大正十五年度臨時定價 金壹圓四錢”이라 찍히고, 다시 “昭和二年度臨時定價 金壹圓0四錢”이라 찍힙니다. 1921년에 찍었으되 1927년 무렵에 퍽 에누리한 값으로 팔린 듯싶으니, 일본이 한창 총칼을 앞세워 짓밟던 무렵 ‘조선 어린이’뿐 아니라 ‘조선 어른’도 조선말 아닌 일본말로 온누리(세계) 땅살림을 바라보고 익혔겠구나 싶습니다. 1915년에 일본에서 낸 책에 적힌 일본 한자말은 오늘날 우리나라에서 고스란히 씁니다. 배움길(학문)로만 본다면 영어나 독일말이나 일본말이 대수롭지 않습니다만, 스스로 배우고 아이들한테 물려줄 살림을 헤아린다면, 1945년부터 차근차근 우리 눈길로 살펴서 우리 말결로 풀어내는 생각을 지을 노릇이었을 텐데 싶어요. 이른 때도 늦는 때도 없는걸요. 마음을 다스려 스스로 나서며 갈고닦는 때만 있습니다. 흙살림을 짓는 수수한 사람들은 배움턱을 넘은 일이 없어도 땅을 만지며 땅을 익히고 알았다면, 배움길을 오래 걸은 사람들은 이 땅을 어떤 말로 바라보는 삶이었을까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