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말빛 2022.7.27.

나는 말꽃이다 96 풀



  풀밥(채식·비건)을 누리려는 사람이 새롭게 느는데, 풀을 먹으면서 ‘풀’이란 낱말을 혀에 안 올리기 일쑤입니다. 풀을 먹기에 ‘풀사람’이요, 서로 ‘풀님·풀벗’일 텐데, 풀을 ‘풀’이라 하지 않으면 무엇일까요? 흙을 짓고 살림을 가꾸던 사람들은 예부터 풀을 함부로 베거나 뽑지 않았습니다. 나물로 삼을 때에 풀을 조금 솎고, 집을 지을 적에 억새나 수수깡을 조금 모았습니다. 우리말은 그저 ‘풀’일 뿐이에요. ‘잡초(雜草)’는 우리말이 아닌, 중국스럽거나 일본스러운 바깥말(외국말)입니다. 풀사람(시골사람·숲사람)한테는 ‘못 쓸 풀·나쁘거나 사나운 풀(잡초)’이란 없습니다. 나물로 삼지 않을 적에는 보금자리를 푸르게 빛내면서 상큼한 바람을 맑게 일으키는 풀입니다. 풀밭에 풀벌레랑 개구리랑 뱀이랑 거미랑 지네랑 온갖 숨결이 어우러지면서 숲빛이 아름답습니다. 풀벌레랑 거미가 있기에 새가 찾아들어 알맞게 솎아내고 노래하지요. 또한 지난날 시골사람·흙사람은 풀줄기에서 실을 얻어 옷을 지었으니, 풀을 함부로 안 베었어요. 외려 풀을 돌보고 아꼈지요. 거름에 얹을 적에 조금 벨 뿐입니다. ‘먹는 풀’만 이름을 알고, ‘아직 안 먹는 풀’은 이름을 몰라 ‘잡초’로 여겨 죽이려 든다면, 풀밥 아닌 막밥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