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2022.7.13.

숨은책 189


《숲속의 소녀》

 로우라 I. 와일더 글

 방순동 엮음

 정민문화사

 1956.11.15.



  열세 살까지는 보임틀(텔레비전)을 어머니랑 언니하고 함께 보았으나, 푸른배움터에 들어가는 열네 살부터 배움수렁(입시지옥)에 빠지며 볼 틈이 없고, 스무 살로 접어들며 아예 끊습니다. 어릴 적에 “초원의 집”이란 이름인 풀그림을 보았어요. 그때에는 책을 몰랐어요. 《보리 국어사전》을 엮던 2001년에 이웃님 한 분이 《초원의 집》을 알려주었어요. 학원출판공사에서 《큰숲 작은집》으로 옮겼으며, 시공사에서 《큰 숲속의 작은집》으로 다시 옮겼다고 귀띔했어요. “Little House in the Big Woods”이니 “큰숲 작은집”으로 옮겨야 맞고, “Little House on the Prairie”라면 “너른들 작은집”으로 옮겨야 맞겠지요. 그런데 지난날 새뜸(방송) 일꾼은 일본말씨처럼 “초원의 집”이란 이름을 붙였고, 뒷날 김석희 님도 이 일본스런 이름을 따릅니다. 흔히 ‘ABE전집’으로 이 책이 처음 나온 줄 여기지만, 1956년에 《숲속의 소녀》란 이름으로 방순동 님(1922∼2006)이 진작 정갈하게 옮겼습니다. 오랜 옮김말씨에는 숲빛하고 들내음이 흘러요. 이 책은 숲과 들 사이에서 온몸으로 풀빛을 머금는 살림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오늘 우리가 잊어버린 손빛을, 풀꽃나무를, 하늘빛을, 숲노래를 고이 풀어내요. 숲순이가 노래하는 하루를.


ㅅㄴㄹ


#LittleHouseintheBigWoods #LittleHouse

#LittleHouseonthePrairie

#LauraIngallsWilder #GarthWilliams

#大きな森の小さな家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