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자와 수다
전김해 지음 / 지식과감성#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2022.7.8.

인문책시렁 213


《사자와 수다》

 전김해

 지식과감성

 2021.3.31.



  《사자와 수다》(전김해, 지식과감성, 2021)를 되새겨 봅니다. 글을 쓰고 그림을 빚은 분은 ‘사자’라는 짐승을 들면서 ‘아버지’하고 얽힌 실타래를 풀어나가려고 합니다. 어머니를 둘러싼 이야기를 풀어내는 책에 대면, 아버지하고 얽히거나 엉킨 삶을 풀어내려는 책은 드뭅니다. 아이를 낳으려면 어머니하고 아버지가 나란히 있을 노릇인데, 왜 아버지를 다루는 책은 드물까요? 아버지라는 자리는 왜 어버이라는 이름으로 빛나려는 마음이 얕을까요?


  어머니는 아버지 같을 수 없고, 아버지는 어머니 같을 수 없습니다. 그러나 둘은 사랑이라는 숨결로 마주하기에 나란히 어버이라는 이름입니다. 어머니는 아버지한테 사랑을 속삭이면서 노래합니다. 아버지는 어머니한테 사랑을 들려주면서 춤춥니다. 어머니는 아버지하고 맺는 새길을 가꾸며 사랑을 지핍니다. 아버지는 어머니하고 맺는 새살림을 돌보며 사랑을 일굽니다.


  곰곰이 보면 둘은 “다른 하나”입니다. 어머니랑 아버지는 참으로 다르지만, 숨결이라는 바탕으로는 같습니다. 아버지하고 어머니는 더없이 다르나, 숨빛이라는 밑자락으로는 같습니다.


  우두머리(권력자)가 서면 맨 먼저 사내(아버지)가 흔들리고 망가집니다. 우두머리는 사내한테 일자리를 주는데, 으레 총칼을 쥔 싸울아비(군인)를 맡겨요. 또는 벼슬아치(관리·공무원)를 시키지요. 사내는 총칼이나 책상을 얻고서 우쭐거리는데, 이때에 언제나 집을 잊어요. 집밖에서 일해서 돈을 얻어야 훌륭한 줄 여깁니다.


  사내들이 우두머리한테 휩쓸려 쳇바퀴로 맴도는 바보짓에 스스로 갇힐 적에 살살 달래어 꺼내 줄 몫이 가시내(어머니)입니다. 집밖으로 나도는 사내를 추슬러 ‘집사람’으로 돌려놓아야지요. “집을 지키려면 우두머리가 시키는 일을 하루 내내 하면서 돈을 벌어야 한다”고들 핑계를 대지만, “집을 지키려면 손수 옷밥집을 지을 만한 삶터를 가꿀 노릇”입니다.


  집에서 배우지 못한 아이들은 언제나 집을 떠납니다. 집에서 사랑을 지켜보지 못하고 사랑을 물려받지 못했으니 마땅히 집을 떠나요. 집에서 사랑을 누리고 물려받은 아이들은 집을 돌보고, 마을을 일구며, 이 별을 푸르게 북돋웁니다. 오늘날 같은 배움수렁(입시지옥) 얼개를 그대로 두는 배움터라면, 온통 서울바라기로 휩쓸리면서 삶터가 흔들릴 테고, 서울을 뺀 모든 곳이 무너질 텐데, 서울을 뺀 모든 곳이 무너지면 서울도 저절로 무너집니다.


ㅅㄴㄹ


줄에 매달린 사자가 중얼거린다. ‘날 묶고 있는 이 줄은 구원의 줄인가 구속의 줄인가 가끔 헷갈린다.’ (15쪽)


미안이가 살짝 망설이다가 대답했다. “내가 천천히 걸어올 때 너의 노여움이 불같이 달려와 버리는 바람에, 그대로 두었더라면 난 더 빨리 왔을 텐데…….” (18쪽)


“여기는 새 땅, 처음이야. 처음이 시작되었어. 옛 땅에서 이 사과씨앗 하나 살아남아 싹틔워 열매 맺었네.” 공룡이 사과나무 잎사귀에 코끝을 부드럽게 문지르며 대답했다. 사자는 사과 한 알을 따서 입에 베어 물었다. 옛 땅의 전설이 사자의 입 안에 가득 퍼졌다. (48쪽)


깜짝 놀란 사자가 큰 나무를 올려다보더니 이내 심드렁해져 머리를 땅에 대고 말했다. “너는 어쩜 그렇게 자신만만하니?” “너는 어쩜 그렇게 너를 모르니?” (52쪽)


세상을 한 바퀴 돌고 온 바람이 힘을 사랑하는 사자에게 말했다. “크든 작든 휘두른다면 똥파리만 붙는다.” (86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