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6.9.


《딸은 엄마의 감정을 먹고 자란다》

 박우란 글, 유노라이프, 2020.7.20.



볕이 가득하다. 이불을 말린다. 이불에서 햇볕내음이 나면 살살 털고서 뒤집는다. 앵두를 딴다. 지난해에는 따서 재우기만 했고, 올해에는 따는 동안 몇 알씩 혀에 얹는다. 우리 집 앵두나무가 베푸는 열매맛은 새콤달콤이다. 가게에서 파는 열매에서는 이런 새콤달콤을 찾기 어렵다. 사람들은 갈수록 ‘새콤달콤’에서 ‘새콤’을 덜어내려 한다. 신맛하고 쓴맛이 있으면 나쁘다고 여긴다. ‘설탕수박’이라 말하듯 그저 더 달아야 한다고만 밀어붙인다. 달게만 하려고 죽음거름(화학비료)를 쓰고 풀죽임물(농약)을 쓰면 우리 몸에 어떤 숨빛이 될 수 있을까? 자전거로 우체국에 다녀온다. 책숲에 쌓은 책하고 짐을 추스른다. 저녁에 미역국을 끓인다. 《딸은 엄마의 감정을 먹고 자란다》를 읽는데 쉽지 않다. 이야기가 안 쉽다는 뜻이 아니라, ‘어머니’라는 자리에 서기 앞서 ‘아이(딸)’로 자라던 지난날 받은 생채기랑 멍울을 아이한테 고스란히 물려준다는 줄거리가 버겁다. 우리는 처음부터 응어리(감정)를 생각하기에 응어리를 물려줄는지 모른다. 지난날 고달피 자랐어도 오늘 이곳에서 스스로 사랑을 키우고 천천히 심어 아이들하고 “사랑을 나누며 살림하는 길”을 찾는 이웃님이 늘기를 빈다. 받은 대로 주지 않는다. 심은 대로 나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