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6.1.


《전나무의 특별한 생일》

 옥사나 불라 글·그림/엄혜숙 옮김, 봄볕, 2020.12.21.



‘고을지기 뽑기(지자체장 선거)’를 하는 날이다. 낮밥 무렵에 자전거로 찾아간다. 뽑기를 하려는 사람이 아예 없다시피 하다. 읍내 저자마실을 한다. 고흥버스나루는 이제부터 18시면 일꾼이 없단다. 재미있다. 바깥에서 고흥을 찾아오는 사람한테 얼굴이라 할 고흥버스나루는 지저분하고 엉성하고 좁을 뿐 아니라, 담배내음이 자욱하다. 예전부터 군청에서 목돈을 들여 버스나루를 옮기려 했으나 ‘고흥군내버스’에다가 버스나루를 거머쥔 이가 손사래치면서 틀어졌다지. 곰곰이 보면 여태 모든 고흥군수에다가 벼슬꾼(공무원·군의원)이 일삯·뒷돈만 챙기고서 팔짱을 낀 탓이다. 고을지기뿐 아니라 벼슬꾼을 통째로 물갈이할 수는 없는가? 고흥·보성·곡성은 나라에서 손꼽을 만큼 밑바닥(청렴도 제로)인데, 순천시 그늘(통합 순천시)로 들어가야지 싶다. 세 곳은 군수를 치우고 벼슬꾼을 확 줄여야 한다. 《전나무의 특별한 생일》은 우크라이나 그림책이다. 우크라이나 숲살이를 보여준다. 요즈음 우크라이나는 러시아가 짓밟느라 숲이며 들이며 마을도 안타깝게 무너지는데, 미친싸움꾼은 어떻게 걷어내야 슬기로울까. 어린이책을 옮기는 분은 으레 ‘뇌조’라고만 하는데, ‘들꿩’이라 할 만하지 않을까? ‘뇌조’란 이름은 너무 안 어울린다.


ㅅㄴㄹ

#OksanaBula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