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말빛/숲노래 우리말

나는 말꽃이다 90 무늬만 한글



  “무늬만 한글”인 말이 넘칩니다. 우리말인 척하지만 정작 우리말이 아닌 일본말씨·옮김말씨(번역체)가 어마어마하게 퍼집니다. 이런 터전이기에, 길들거나 익숙한 일본말씨·옮김말씨를 그대로 써도 안 나쁘지 않느냐고 묻더군요. 다들 일본말씨·옮김말씨를 쓴다면 이런 말씨를 우리말씨로 여겨야 하지 않느냐고도 따지더군요. 그러나 후박을 후박 아닌 호박이라 말하는 사람이 많다고 해서 ‘후박나무’란 이름을 ‘호박나무’로 바꿀 까닭이 없습니다. 울릉섬 ‘후박엿’을 사람들이 ‘호박엿’으로 잘못 알거든요. 자, “잘 됐으면 좋겠어요”는 무늬만 한글입니다. “잘 되면 좋겠어요”가 우리말씨입니다. 예부터 말은 삶을 짓는 어버이가 언제나 살림빛으로 아이한테 물려주었기에 “무늬만 한글인 틀린말씨”는 아예 없었으나, 오늘날은 배움터(학교)에서 ‘학습도구·시험공부’로 외우라고 길들이기에 그만 “무늬만 한글인 바깥말씨”가 잔뜩 불거져요. 이 대목을 짚는 《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하고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하고 《읽는 우리말 사전 3》을 썼습니다. 이러한 곁책을 읽되, ‘살림빛 짓는 어진 어른’이란 마음을 스스로 밝혀, 누구나 다 다른 삶터에서 삶말을 깨달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