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창고로 가는 길 - 박물관 기행 산문
신현림 글, 사진 / 마음산책 / 2002년 1월
평점 :
절판


숲노래 책읽기 2022.6.7.

인문책시렁 224


《시간창고로 가는 길》

 신현림

 마음산책

 2001.3.10.



  《시간창고로 가는 길》(신현림, 마음산책, 2001)을 퍽 예전에 읽었습니다. 스무 해가 훌쩍 지난 요즈막에 다시 읽다가 살림숲(박물관)이란 무엇일까 하고 돌아봅니다. 어릴 적부터 ‘박물관’이란 이름이 어려웠고, 무슨 뜻인지 종잡지 못했으며, 무엇보다 ‘박물관이란 이름을 붙인 곳에 놓은 살림’은 우리하고 동떨어진 머나먼 곳 모습이라고 느꼈어요.


  살림숲에 있는 온갖 살림을 보면, ‘살림살이를 손수 지은 사람’ 이야기란 없이, ‘살림살이를 짓도록 시켜서 얻어먹기만 한 사람’ 이야기만 가득합니다. 우리는 거꾸로 보는 셈입니다. 아니, 살림을 빛내는 참길하고 먼 우두머리 뒷자취만 더듬는 셈입니다. ‘전쟁사’라는 발자취를 보면, 언제나 우두머리 이름만 나올 뿐, 싸움판에서 총칼을 휘두르다가 맞아서 피를 흘리며 죽어간 사람들 이름은 한 마디도 없습니다. 을지문덕에, 광개토대왕에, 이순신에, 이성계에, 이런 우두머리나 저런 우두머리에 가린 들꽃 같은 사람들은 어떤 살림을 지은 나날이었을까요?


  보는 눈길에 따라 모든 곳이 바뀝니다. 저는 일본스러운 한자말 ‘박물관’을 바라볼 마음이 없습니다. 아이를 사랑으로 낳아 돌보는 수수한 순이돌이 눈길로 ‘살림숲’을 바라보려고 생각합니다. 신현림 님은 ‘시간창고’란 눈길로 바라보더군요. 그래요, 오늘날 우리네 ‘박물관’은 ‘살림숲’이 아닌 ‘시간창고’란 이름이 어울립니다. 창고잖아요?


ㅅㄴㄹ


우리나라 조선시대 관리들은 모두 시를 쓸 줄 알았다. 모든 이의 가슴엔 시인이 산다. 그러나 현대인은 책도 안 읽고, 제 가슴속의 시인을 잊고 사니, 삶에서 시적 정취가 사라지는 건 당연하다. (37쪽)


섹스 장면 하나 없다고 실망하는 이도 보았다. 그러나 폭력이나 섹스 장면 하나 없이 두 시간 가까이 화면 앞에 붙들어놓는 영화는 얼마나 근사한가. (41쪽)


전라도 땅은, 그나마 개발이 덜된 느낌 때문인지, 그 옛날 백제의 냄새까지 맡아진다. 물론 내 코가 개코처럼 예민한 탓도 있으나, 아무리 문명이 발달해도 원시의 모습을 간직한 대지가 남아 있어서 내가 한국인이라는 사실을 잊지 않으리라 생각된다. (126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