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2022.6.1.

아무튼, 내멋대로 7 전라남도 고흥



  인천·서울에서 살며 뽑기(선거)를 할 적에는 큰고장이라 워낙 사람이 많으니 ‘누가 뽑기를 하고 안 하고’가 드러나지 않는다. 전남 고흥에서 살며 뽑기를 할 적에는 워낙 작은시골이라 사람이 적으니 ‘누가 뽑기를 하고 안 하고’가 훤히 드러난다. 서울·부산이며 큰고장은 이른바 ‘이럭저럭 비밀투표’라 할 테지만, 전라남도나 경상북도 작은시골에서는 ‘다 드러나는 안 비밀투표’ 같은 우리 민낯이다. 2022년 6월 1일을 앞두고 ‘손전화’로 전화가 오더라. “사전투표 했느냐?”고 묻더라. 어처구니없는 노릇이지만, ‘통화 녹음’을 눌렀고, 나한테 “사전투표 했느냐?”고 묻는 분한테 이 말을 다시 하도록 에둘러 말을 했고, “저는 본투표를 할 생각입니다.” 하고 말하고서 끊었다. 서울·부산에는 새뜸(신문·방송)도 많고, 글을 쓰는 사람도 많다. 큰고장에서는 조그마한 허물도 쉽게 드러나고, 벼슬꾼(정치꾼·공무원)은 작은 허물이 새뜸에 환히 드러나서 창피를 받기도 하고 자리에서 물러나기도 한다. 이와 달리 작은시골에서는 큼지막한 허물조차 돈(광고비)으로 씻을 뿐 아니라, 아무리 커다란 허물이 있더라도 외려 새뜸에 한 줄로조차 안 나오기 일쑤이다. 글바치(기자·작가)를 보라. 문재인·윤석열·조국·한동훈을 놓고 이러쿵저러쿵하지만, 전남 고흥 군수라든지 전남교육감 후보라든지 전라남도 군의원 같은 사람들 발자취를 살피는 이가 몇이나 될까? 전라남도 고흥에 살면서 하루하루 창피한 민낯을 숱하게 지켜보는데, 이 작은시골에서는 이 민낯을 글로 쓰는 사람을 ‘두 분 + 나 하나’ 빼고는 못 본다. 아는 이들은 그저 마음에 담고서 말을 않고 글로는 아예 안 옮긴다. 창피한 민낯을 말로 읊거나 글로 옮기면 군수·도지사·교육감·국회의원 같은 이들이 우르르 뒷손을 써서 아주 이뻐해(블랙리스트) 준다. 작은허물 아닌 큰허물로 얼룩진 그들(군수·도지사·교육감·국회의원)은 나더러 “입 좀 다물지? 입을 다물면 너한테도 좋을 텐데?” 하고 꼬드기려 한다. 나는 그들한테 “손 좀 치우시지? 난 너희 돈을 받을 생각 없어. 난 이 나라에서 참빛을 찾는 이들이 즐겁게 내 책을 사서 읽어 주기에 그분들이 책을 사서 읽어 주는 손길을 볼 뿐이야.” 하고 말한다. 경상도만 해도 ‘민주당 후보·국민의힘 후보·정의당 후보·진보당 후보·녹색당 후보’가 있다. 그러나 전라남도를 보면 ‘민주당 후보·민주당에서 탈당한 무소속 후보’만 있다. 전라남도는 다름(다양성)을 잃은 지 너무 오래되어 썩어문드러졌다. ‘오월광주넋’을 내세우려는 전라남도·광주라면, 모든 지역구에서 ‘정의당 후보·진보당 후보·녹색당 후보’가 나란히 있어야 하지 않을까? 그나마 광주는 큰고장이라 이런 후보가 몇쯤 있다지만, 전라남도 작은시골에는 아예 없다. 바로 창피한 민낯이다. 우리나라 진보·녹색정치는 모조리 서울바라기로 쏠린 채 그들 스스로 말하는 ‘녹색(시골)’에 아주 등진 몸짓이다. ‘전라도로 먹고사는 민주당’도 고인물이지만, ‘서울에 목매는 진보정치’도 고인물이다. 2022년 6월 1일 14시에 자전거를 타고서 면소재지 중학교 체육관에 있는 투표소로 가기 앞서 이 글을 남긴다. 찍을 사람을 찾기 어려운데 뭘 찍어야 할까.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