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2022.5.25.

아무튼, 내멋대로 3 손글씨책



  책에 지은이 손글씨나 손그림을 받을 수 있는 줄 푸름이(청소년)에 이르도록 몰랐다. 인천 골목마을에서 나고자라며 조용히 배움수렁(입시지옥)에 파묻힌 수수한 푸름이가 ‘손글씨책’을 알 턱이 있을까. 다만 우리 아버지는 노래꽃(동시)을 쓰셨고, 중앙일보 새봄글(신춘문예)에 뽑힌 적이 있기도 하고, 인천에서 우리 아버지하고 글벗이자 술벗인 김구연 아저씨가 있기에, 김구연 아저씨가 우리 아버지한테 손글씨를 담아서 건넨 노래책(동시집)은 여럿 보기는 했다. 1992년 8월 28일부터 비로소 눈뜬 헌책집을 푸른배움터(고등학교) 두걸음(2학년) 때부터 이레마다 하루씩 몰래 혼배움(자율학습)·덧배움(보충수업)을 빼먹고 달아나서 찾아갔다. 흙날(토요일)하고 해날(일요일) 가운데 하루는 꼭 헌책집에 아침부터 저녁까지 틀어박혀서 책읽기로 살았다. 이때에 ‘헌책집 헌책’ 가운데에는 손글씨책이 꽤 흔한 줄 느꼈다. 스무 살 무렵 서울 용산 헌책집 〈뿌리서점〉에서 손글씨책을 만난 뒤에 책집지기 아저씨한테 “사장님, 어떻게 이 책을 받은 분은 책을 버릴 수 있을까요? 너무한걸요.” 하고 여쭈었다. “허허, 최 선생이 아직 모르시는구만. 물론, 작가한테서 사인 받은 책을 그냥 폐품하고 섞어서 버리는 사람도 있지. 그러나 일부러 헌책방에 내놓아 주는 분이 있어.” “네?” “모르겠나? 최 선생 같은 책벌레가 헌책방에 와서 책을 읽다가 우연히 ‘작가 사인’이 들어간 책을 만나면 어떻겠나?” “아!” “가난해서 책을 많이 사읽지 못하는 사람이라면 작가를 만나기도 힘들겠지?” “네.” “이렇게 헌책방이라는 곳에서 최 선생 같은 책벌레들이 작가 손길도 느껴 보라는 뜻으로 내놓아 주는 분들이 있어. 그러니 작가 사인본을 만난다고 해서 독자들이 책을 함부로 버린다고는 여기지 말게.” 2004년에 내 첫 책인 《모든 책은 헌책이다》를 내놓고 나서 둘레에 ‘숲노래 손글씨책’을 많이 나누고 건네었다. 마땅한 노릇인데, 내가 어느 분한테 손글씨를 남긴 책이 이따금 헌책집에 들어오고, 그 책을 문득 내가 만나기도 한다. 빙그레 웃으면서 ‘잘 보이는 데’에 일부러 놓는다. 스무 살 나처럼 어느 가난한 책벌레 젊은이가 숲노래 씨 책으로도 ‘글바치 손빛’을 느낄 반가운 숨결로 만날 수 있다면 즐거운 일이리라 느낀다. 어제(2022.5.24.) 인천 이설야 노래님(시인)한테서 손글씨책을 받았다. 언제나 즐겨읽는 노래님이 손글씨를 남긴 책을 받고서 기쁘게 품었다. 고이고이 건사하리라. 우리 집안 보람(보물)로 삼으리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