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기완이 없는 거리에서 - 백기완 선생과 나
여럿이 함께 씀 지음, 백기완노나메기재단 엮음 / 돌베개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 2022.5.7.

노래책시렁 232


《백두산 천지》

 백기완

 민족통일

 1989.5.15.첫/1989.7.31.둘



  우리가 하는 모든 말은 마음입니다. 말은 마음입니다. 이 대목을 보고 느껴서 스스로 알아야 합니다. 이 땅에서 우리말을 쓰면서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우리말로 생각을 지어서 뜻을 펴야 비로소 스스로 어떤 숨결이며 삶이고 사랑인가를 깨닫습니다. ‘우리말만 써야 한다’가 아닌 ‘우리말을 쓸 일’입니다. ‘말·마음’은 말밑(어원)이 같습니다. 두 낱말이 같은 말밑이되 다른 말결인 줄 알자면, ‘그냥 우리말’을 써야겠지요. 어린이도 알고 어른도 아는 수수한 우리말을 스스로 쓰기에 누구나 스스럼없이 삶빛을 깨닫습니다. ‘글·그림’도 말밑이 같아요. ‘그리다·긋다’도 한동아리입니다. ‘이·그·저’로 잇닿는 ‘그’를 살필 노릇이며, 누구나 밥살림에서 쓰는 ‘그릇’도 나란히 어우러지는 말밑인 줄 새길 일이에요. 우리가 쓰는 우리말은 쉽습니다. 쉬우니 아이가 이내 배워서 조잘조잘 재잘재잘 노래합니다. 《백두산 천지》는 노래 가운데에서 ‘비나리’입니다. 비는 뜻을 담은, 하늘에 바라고 스스로 마음빛에 서린 사랑을 바라보는 뜻을 엮은 글자락입니다. 아니, 말빛(마음빛)이라고 해야겠지요. 우리는 꿈을 그릴 노릇이지, 꾸밀 노릇이 아닙니다. 고작 한끗이라지만 ‘꿈’하고 ‘꾸밈’은 확 달라요. 꾸미면 거짓입니다.


ㅅㄴㄹ


현담아 / 어쩜 그렇게 시를 잘 지었니 // “봄비가 솔솔 내려 / 힘 없는 우리 아빠 / 기운을 주소서” // 네 글귀에 애비는 정말 / 힘을 입어 / 꼭 살아서 돌아가겠다 // 그리고 꽃동산이라는 / 네 시의 마지막 글귀 // “바람이 불면 / 무섭다고 도망가는 꽃 / 꽃들은 겁장이 / 기운을 내세” (현담아/46쪽. 80.2.1.)


이틀이 지나자 그는 내가 어딘가 / 그늘진 사람이라는걸 알었다 // 그리하여 됫병을 차고 들어온건 / 자정녁, 그가 먼저 떨어졌으나 / 새벽달 남은 쪼각에 / 그의 두려움이 그대로 걸려 / 슬며시 이슬길을 헤치다 / 늦으막에야 다시 들어서 (사십년동안 끈질기게/97쪽. 86.가을)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고 “말꽃 짓는 책숲”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