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빛 2022.4.22.

책하루, 책과 사귀다 107 모과꽃



  모과꽃 한 송이를 가만히 먹으면 하루 내내 굳이 아무것도 안 먹어도 될 만큼 배가 부를 만합니다. 모과꽃을 먹어 보았나요? 아마 모과꽃을 먹어 본 사람은 드물 테고, 모과나무를 곁에 두는 사람도 드물 테며, 모과꽃이 언제 얼마나 피는가를 아는 사람도 드물 테지요. 모과꽃이 아니어도 뽕꽃이나 감꽃이나 살구꽃이나 포도꽃이나 귤꽃이나 능금꽃을 먹을 만합니다. 그야말로 숱한 꽃은 꽃으로서도 아름다운 밥입니다. ‘많이 먹어야 할 꽃송이’가 아닌 한 송이로 온몸을 사르르 녹이면서 북돋우는 꽃밥이에요. 우리는 밥다운 밥을 멀리하거나 잊기에 지나치게 먹고 만다고 느껴요. 왜 많이 먹는지 생각해 봐요. ‘참다이 먹을것’을 먹을 때까지 우리 몸이 자꾸 밥을 넣어 달라고 비는구나 싶어요. ‘참밥’을 한 모금이나 한 톨만 몸에 가벼이 넣어 주면 즐겁습니다. 참밥 아닌 거짓밥을 잔뜩 몸에 넣으니 몸도 고단하고, 푸른별도 휘청거리며, 온누리가 뒤엉킨다고 느껴요. 책을 더 많이 읽어야 할까요? ‘참책’이 아닌 ‘거짓책’이나 ‘꾸밈책’이나 ‘눈가림책’을 잔뜩 읽는들, 우리 스스로 마음을 틔우거나 생각을 열거나 슬기롭게 빛날까요? 아니겠지요. ‘아무 책이나 많이 읽기’가 아닌 ‘꽃책’을 즐거이 만날 적에 저마다 빛납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고 “말꽃 짓는 책숲”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