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마실


그네 (2022.1.21.)

― 군포 〈터무니책방〉



  요즘은 아이들이 마음껏 뛰놀 빈터가 시골에도 서울에도 자취를 감춥니다. 부릉이(자동차)가 끔찍하게 늘어난 탓도 있으나, 아이들이 배움터(학교)에 너무 오래 자주 갇히는 탓이 훨씬 큽니다. 마을놀이나 골목놀이를 누리지 못한 채 배움수렁(입시지옥)으로 헤매다가 어른 몸뚱이가 된 분들이 벼슬자리(공무원)에 앉으면, 마을길이나 마을살림을 어떻게 돌보거나 가꾸어야 아이어른이 나란히 즐거우며 넉넉할까 하는 대목을 생각조차 못 하게 마련입니다.


  그네가 없는 놀이터가 많습니다. “그네가 위험해서 치웠다”는 말을 자주 들었습니다. “아니, 그네가 아슬하면 부릉물결이야말로 아찔하지 않아요? 골목이며 마을에 아무도 부릉부릉 못 들어오게 막아야 하지 않아요?” 소리가 절로 나왔어요.


  아침을 수원에서 작은아이하고 열고서 군포로 건너옵니다. 군포에는 〈터무니책방〉이 군포라는 터에 새롭게 무늬를 새기는 물결처럼 있습니다. 작은아이는 숲노래 씨보다는 늦게 일어나지만 새벽 여섯 시 무렵이면 번쩍 눈뜹니다. 일찌감치 군포로 넘어왔기에 아침에 머물 데가 마땅하지 않았는데, 마침 ‘회목안어린이쉼터’가 가까이에 있습니다.


  어린이쉼터에 그네가 있습니다. 시골에서는 좀처럼 구경조차 못 하는 그네가 여기 마을 한켠 호젓한 곳 한복판에 둘 있습니다. “아버지, 그네 어떻게 타요?” “그네는, 가만히 앞으로 뒤로 바람을 실컷 가르면서 깔깔거리면 돼.” “엥? 그게 뭐야?” “자, 어떻게 그네로 노는지 보렴. 손이나 팔에 힘을 주거나 발을 서둘러 구르면 그네를 못 타. 힘을 다 빼고 바람이랑 놀면 하루 내내 그네에 앉는단다.”


  제 어릴 적에는 그네를 타려고 그렇게 한참 줄을 서며 땡볕에서 기다렸습니다. 아직 어스람한 새벽 네 시 무렵 조용히 일어나 살금살금 ‘그네 있는 놀이터’로 달려갔고, 모두 잠들었다 싶은 한밤에 슬금슬금 집에서 나와 그네를 탔어요.


  땀을 실컷 내며 그네를 논 작은아이랑 〈터무니책방〉에 깃듭니다. 책집에서 작은아이가 심심해 하는구나 느끼며 ‘그네’ 타는 이야기를 곧장 노래꽃(동시)으로 슥슥 씁니다. 책집으로 오는 길에 글붓집에서 장만한 그림판에 글씨를 왼쪽에 붙여쓰고서 건넵니다. “산들보라 씨가 오늘 그네를 타며 논 모습을 그려 주셔요.”


  우리 집 마당에 그네를 놓는 꿈을 오래 품었습니다. ‘마당 있는 집’을 서른여섯 해 만에 시골에서 누렸으니, 그네 놓을 시원한 터도 곧 누리겠지요. 책으로 마을에 담아내는 무늬란 이곳을 해님처럼 빗방울처럼 별빛처럼 사랑하는 손길이라고 느낍니다. 이다음 군포마실을 할 적에도 그네놀이터를 먼저 들르려고 합니다.


《아빠의 작업실》(윤순정 글·그림, 이야기꽃, 2021.11.22.)

《시리미로의 집》(고미랑 글·그림, 고미랑, 2018.)

《시인 할머니의 거짓 않는 자연》(황보출, 푸른어머니학교, 2020.9.)

《시인 할머니의 귀여운 하루하루》(황보출, 푸른어머니학교, 2020.9.)

《시인 할머니의 욕심없는 삶》(황보출, 푸른어머니학교, 2020.9.)

《시인 할머니의 두근두근 사랑》(황보출, 푸른어머니학교, 2020.9.)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고 “말꽃 짓는 책숲(사전 짓는 서재도서관)”을 꾸린다. 1992년부터 이 길을 걸었고, 쓴 책으로 《곁말》, 《곁책》, 《쉬운 말이 평화》,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읽는 우리말 사전 1·2·3》, 《우리말 동시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시골에서 책 읽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들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