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2022.4.7.

숨은책 647


《일반과학 동물계》

 조복성 글

 정음사

 1950.5.8.



  어릴 적에 나무이름이며 풀이름이며 벌레이름을 참 못 외웠습니다. 묻고 또 묻고 다시 물었습니다. 둘레에 나무이름에 풀이름에 벌레이름을 물을 만한 어른은 우리 어머니였어요. “그만 좀 물어. 벌써 몇 벌째니?” “잘못했어요. 생각이 안 나서요.” “아니야. 잊어버렸으면 다시 알려주면 되는데, 어머니가 미안해.” “그런데 어머니는 어떻게 이름을 그렇게 잘 알아요?” “어머니는 어릴 적에 시골에서 자라서 늘 보고 자랐어.” “어, 그러면 저도 시골에서 태어났으면 이름을 잘 알 수 있었을까요?” 우리 어머니는 이다음은 입을 다무셨어요. 나중에 다시 여쭈니 오빠들은 배움터(국민학교·중고등학교)를 다 가는데 어머니는 딸이라 어린배움터도 다니는 둥 마는 둥 해야 했고, 그마저 푸른배움터는 엄두조차 못 내었다더군요. “넌 시골이 아니라 인천에서 태어나서 고마운 줄 알아야 해.” 하고 곧잘 말씀했습니다. 《일반과학 동물계》는 우리 손으로 일군 우리 풀벌레·숲짐승·헤엄이 살림살이를 다룬 배움책입니다. 드디어 1950년에 이만 한 책이 태어나는데 한 달 뒤에 한겨레싸움(동족상잔)이 불거지며 이 책은 가뭇없이 밟히고 잊힙니다. 우리 곁에 있는 작은이웃을 눈여겨보고 이름을 부른다면 어깨동무를 할 텐데요.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