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들의 사랑가 창비시선 94
김해화 지음 / 창비 / 1991년 5월
평점 :
품절


숲노래 노래책 2021.12.28.

노래책시렁 204


《우리들의 사랑가》

 김해화

 창작과비평사

 1991.6.5.



  집짓는 곳에서 쇠막대를 잡는 일을 해온 발자취를 글로 옮긴 김해화 님은 노래책을 몇 자락 남깁니다. 《우리들의 사랑가》는 땀흘린 하루를 잇고 새로 이어도 헤어나지 못하는 가난살림을 그립니다. 땀을 노래한 글은 아름답습니다. 다만, ‘문학’이 아닌 ‘글’이기만 하다면, ‘시’를 쓰려는 생각이 아닌, ‘삶’을 ‘노래’하려는 생각이라면, 땀글(노동문학)은 이슬처럼 반짝입니다. 땀흘려 일하는 하루이니, 땀을 그대로 옮기면 됩니다. 글바치처럼 꾸미거나 보태야 하지 않습니다. 주먹을 불끈 쥐는 목소리를 내야 하지 않습니다. 이른바 ‘노동문학’이라는 이름을 얻으려고 하면 글도 노래도 망가집니다. ‘노동문학을 하려고 노동자로 지내는 사람’이 있다면, 얼마나 얼빠진 짓일까요? 그런데 땀글을 땀글로 읽지 않는 이들이 많아요. 말꾼(평론가)은 ‘땀흘려 일하지 않는 자리에 있으면서 땀글을 놓고서 이리 따지고 저리 잽’니다. 말꾼 가운데 삽일(막노동)뿐 아니라 집안일을 해본 이는 몇이나 될는지요? 김해화 님이 여민 땀글은 갈팡질팡합니다. ‘일하는 사람 눈길대로 쓰면 넉넉한’데 자꾸 ‘노동문학이 되려는 글치레’로 가려 합니다. 글쟁이도 글바치도 만나지 않으면서 땀흘리기만 했다면 얼마나 빛났을까 싶더군요.


ㅅㄴㄹ


누구를 위해 집을 짓는가, 45평 54평 / 1,200세대, 이 아파트를 짓고 나면 / 우리들의 마을은 마을 밖으로 밀려나 (13층 위에서/89쪽)


“함께 좀 가시죠.” / 따라 들어간 곳 / 컴퓨터 조회 끝에 / 15년 전 앞뒷마을 패싸움나 벌금낸 것 끄집어내 / “전과자로군. 깡패 아냐?” / 저희들 멋대로 가방을 뒤지며 / “노가다 치고 우범자 아닌 놈들 없어.” / “어쭈, 노동법 해설이라? 놀고 있네.” / 이 책 저 책 들춰보고 노트도 떠들어보고 / “불온유인물 같은 것 없나 잘 봐. 노동법 들먹이는 놈들 치고 빨갱이 아닌 놈들 없으니까.” (칼쿠리/14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