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의 사물
조경란 지음 / 마음산책 / 201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2021.9.19.

책으로 삶읽기 703


《소설가의 사물》

 조경란

 마음산책

 2018.8.25.



연휴 때 밀어둔 책들과 신간을 몇 권 읽었는데 그중에 중국 작가 장웨란의 단편 〈집〉을 보고는 다시 트렁크를 떠올리게 되었다. (37쪽)


조카들의 귀 청소를 해주면서 동시를 읊는다. (42쪽)


시간은 흐르는데 더 나은 인간이 되기는커녕 예전보다 못한 내가 될까 봐 겁난다. 그래서 느리게라도 계속해서 읽고 생각하고 듣고 보고 쓴다. (64쪽)


책을 쓰고 만드는 일을 천직으로 삼기가 점점 어려워지는 시대이긴 하지만 아직도 그런 사람들이 주위에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기운이 난다. (114쪽)


보내지 않아도 좋을 그 편지를 한 자 한 자 필압筆壓에 담고 느끼며 썼던 이유는 이 세상 누군가 한 사람에게만은 내 고백의 글이 가 닿기를 바랐던 간절함 때문이 아니었을까요. (296쪽)



《소설가의 사물》(조경란, 마음산책, 2018)을 읽으며 밑줄을 그을 만한 데를 못 찾았다. 두벌째 읽으며 겨우 몇 군데에 빗금을 쳤다. 마음에 와닿은 대목은 아니나, 글님 속내가 드러나는구나 싶은 곳을 눈여겨보았다. 소설을 쓰고 문학상 심사위원으로 일하는 글님이라는데 옮김말씨라든지 일본말씨가 수두룩하다. “초등학교 때 살던 집의 재래식 부엌에서 나는 처음 요리를 했다(241쪽)”나 “책이라는 건 묘한 데가 있어서 한 문장이나 단어 하나만 봐도 그것을 읽고 있는 나의 삶, 나라는 존재로 곧장 눈을 돌리게 할 때가 많습니다(7쪽)” 같은 글은 겉보기는 한글이되 우리말은 아니다. 우리말은 이렇게 안 한다. “→ 어릴 적에 낡은 부엌에서 처음 밥을 지었다”나 “→ 책이란 재미있어서 슬쩍 보기만 해도 삶과 넋을 곧장 생각합니다”처럼 쓸 적에 비로소 ‘우리말’이라고 한다. “조카들의 귀 청소를 해주면서(42쪽)”는 어떨까? 우리말이라면 “→ 조카들 귀를 파 주면서”라 해야겠지. ‘-게 되다’나 ‘-해지다’는 모조리 옮김말씨+일본말씨인데, 이런 말씨는 글님 조경란만 쓰지 않는다. 웬만한 글꾼은 이처럼 쓰면서 무슨 글결인가를 못 느낀다.


이러다가 “신춘문예에 당선된 뒤 몇 달간 아무 데서도 청탁이 없었고(30쪽)” 같은 대목에서 넌지시 무릎을 쳤다. 이 책 《소설가의 사물》을 쓴 분, 이 책을 펴낸 곳이 무엇을 바라보며 사람들을 ‘길들이려’ 하는가를 느꼈다. ‘푸념과 하소연’을 밑밥으로 삼아서 ‘너 힘들지? 나도 힘들어? 우리 다 힘들구나!’ 하는 생각에 사로잡히도록 이끄는 글을 엮어내는구나 싶다.


우리나라 숱한 글(소설)이 ‘사랑’이나 ‘연애’를 다룬다고 하지만, 내가 느끼기로는 사랑도 연애도 아닌 ‘툭탁질’이거나 ‘다툼질’이거나 ‘살섞기·살부빔’에서 그친다. 사랑 아닌 줄거리를 그리면서 마치 ‘사랑’이라도 되는 듯이 ‘사랑이라는 낱말을 쓰며’ 사람들을 홀린다고 할 만하다. 서울 지하철을 모는 분이 사람들한테 남우세를 무릅쓰고서 ‘데이트폭력 살인자’ 이야기를 밝히며 도와주기를 바란 마음을 《소설가의 사물》을 쓴 사람이나 이 책을 펴낸 곳에서는 터럭만큼이라도 느끼거나 생각할까? 그들 모든 때린이(가해자)는 입에 발린 ‘사랑·연애·데이트’란 낱말을 주워섬긴다.


지난 2008년에 ‘조경란 《혀》 표절’이 도마에 올랐을 적에 적잖은 ‘문단주류 쇠밥그릇 평론가와 작가’는 하나같이 입을 다물었다. 왜 그들이 입을 다물었는가는 그해 2008년 〈프레시안〉에 나온 ‘방현석 말’에 아주 잘 드러난다.


우리는 잘 생각해야 한다. 모든 ‘베낌질 말썽(표절 시비)’은 ‘문단권력자 + 문단주류 출판사 + 문단주류 쇠밥그릇 평론가·기자 + 큰책집(대형서점)’이 한통속이 되어 일어날 뿐 아니라, 이들이 똘똘 뭉쳐서 사람들 눈귀입을 싹 틀어막으려 한다. 몇 해 지났다고 스멀스멀 기어나와서 떡하니, 바로 그 ‘창비’에서 새책을 내놓은 신경숙을 보라. 고은이야 나이가 많아 책을 더 못 낼는지 모르나, 김봉곤은 어떨까? 도마에 오르지 않았으나 뒤에서 돈놀음·이름놀음·힘놀음을 하는 숱한 이들은 어떨까?


오래 살고 볼 일이다. 즐겁게 오래 살면서 허술하고 허접하게 껍데기를 내세워 장사를 하는 이들 민낯을 하나하나 느끼고, 우리는 스스로 새롭게 아름다우며 참다이 사랑스러운 글꽃을 가꾸면서 노래할 일이다.


ㅅㄴㄹ

.

[미디어오늘]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mod=news&act=articleView&idxno=123836

.

[프레시안]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91734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