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의 어두운 저편 창비시선 308
남진우 지음 / 창비 / 200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시읽기 2021.8.7.

노래책시렁 191


《사랑의 어두운 저편》

 남진우

 창비

 2009.11.20.



  2021년 언저리에 널리 퍼진 말씨 하나는 ‘대면·비대면’입니다. 예전에도 이 일본스런 한자말을 쓰기는 했을 테지만 갑작스레 부쩍 늘었습니다. 어린이 눈높이를 헤아려 “만나는·안 만나는”이나 “보는·안 보는”이나 “마주하는·얼굴 없는”처럼 쓰는 사람을 보기가 쉽지 않습니다. 나라(정부)에서 내려보내는 말씨를 그냥그냥 씁니다. 이제 어린배움터·푸른배움터뿐 아니라 열린배움터도 거의 닫을 판입니다. 그렇다면 생각해야겠지요. 배움터하고 배움책은 어디에 무슨 쓸모가 있을까요? ‘글쓰기·글읽기’가 아닌 ‘문학창작·문학비평’은 삶에 이바지할 만할까요? 《사랑의 어두운 저편》을 읽으며 배움책(교과서)스럽구나 싶었습니다. 노래가 아닌 ‘시라는 문학’이 되려면 이러한 틀을 맞추고, 이렇게 솜씨를 부리고, 이처럼 줄거리를 짜야 한다고 가르치네 싶어요. ‘문학교육’이란 말까지 쓰는 판입니다만, 글은 가르치거나 배울 수 없습니다. 글은 언제나 말이고, 말은 언제나 마음이고, 마음은 언제나 생각 한 줄기에서 태어납니다. 생각 한 줄기에서 태어나는 마음은 삶으로 드러나고, 이 삶을 말에 얹어서 글로 옮깁니다. 배우거나 가르칠 글이 아닌, 살며 삶으로 웃고 울면 어느새 노래(시)가 되고 꽃(동화·소설)이 됩니다.

.

.

당신이 잠든 사이 / 당신의 집 지붕 위를 걸어다니는 사람이 있다 / 뚜벅뚜벅 확신에 찬 발걸음으로 / 당신의 불안한 잠에 큰 발자욱을 찍어놓는 사람이 있다 (당신이 잠든 사이/14쪽)


전갈 한 마리 소리없이 네 발뒤꿈치에 다가와 / 가만히 물고 지나갔다 // 사막 입구 쓰러진 네 몸 위로 / 둥근 달이 떠올랐다 / 멀리 출구에서 불어온 한줄기 바람이 / 네 귀에 뭐라고 속삭이고 지나갔다 (生/44쪽)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