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시령 큰바람 - 1995 제3회 대산문학상 수상작 ㅣ 문학과지성 시인선 131
황동규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93년 11월
평점 :
숲노래 시읽기 2021.8.1.
노래책시렁 190
《미시령 큰바람》
황동규
문학과지성사
1993.11.30.
배움터(학교)는 어린이하고 푸름이한테 노래(시)를 물음풀이(시험문제)에 맞추어 조각조각 뜯고 줄거리(내용)하고 알맹이(주제)하고 글감(소재)을 알아내도록 가르칩니다. 그런데 노래를 ‘줄거리·알맹이·글감’으로 뜯어야 할까요? 가락(운율)을 짚고 빗댐말로 헤아려야 할까요? 저마다 다른 사람이 어느 한 가지를 저마다 다르게 느끼기에 저마다 달리 노래하기 마련입니다. 이웃이 어떤 마음이요 생각인가를 느끼고 읽어서 주고받으려는 뜻이 아니라면, 굳이 노래를 가르치거나 배워야 할까요? 《미시령 큰바람》을 읽는 내내 노래는 누가 누구한테 가르칠 수도 배울 수도 없는 노릇이라고 새삼스레 생각합니다. 노래는 그저 부릅니다. 잘난 노래나 못난 노래란 없어요. 노래를 놓고서 물음풀이를 한다면 모두 눈속임이나 거짓이지 싶습니다. 다 다른 사람이 다 다르게 느끼기 마련일 노래인데, 어떻게 줄거리나 이야기를 하나로 짜맞추어야 할까요? 곰곰이 보면 이 나라에서는 ‘문학비평·문학창작·문학수업·문학강좌’가 있습니다. 삶을 노래하고 살림을 사랑하면서 사람이 숲으로 서는 길을 나누는 자리는 좀처럼 안 보입니다. 글쓰기를 배워서 틀에 맞추는 문학이 아닌, 사랑으로 살림을 짓는 삶에서 저마다 피어나는 노래이기를 빕니다.
ㅅㄴㄹ
오백 년은 넘어 뵈는 느티나무가 지나가고 / 오르페우스처럼 / 나는 휘딱 뒤돌아본다. / 오토바이 하나가 눈앞에서 확대되려다 만다. (지방도에서/26쪽)
마음속 악마가 속삭인다. / 뒤돌아보지 마라. / 뒤를 보이지 마라. / 시간 됐다, 출석부와 책을 끼고 곧장 강의실로. (마왕魔王/5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