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마실


푸른그림 (2021.5.12.)

― 서울 〈나무 곁에 서서〉



  우리나라에 풀꽃두레(환경단체)가 제법 있습니다. 사람들 누구나 시골이라는 터전에서 숲을 품고 들에서 일하며 바다에서 놀던 무렵에는 따로 풀꽃두레가 없었습니다. 모든 사람이 저마다 다르게 풀님이요 꽃님이자 숲님이고 들님에 바다님이면서 멧님이었거든요.


  시골을 밀어내어 서울을 넓히면서 풀꽃에 마음을 기울이는 사람이 자랍니다. 숲을 망가뜨리거나 바다를 더럽히는 일이 늘어나면서 풀빛으로 몸을 물들이는 사람이 깨어납니다. 그런데 거의 모든 풀꽃두레는 시골 아닌 서울에 터를 두고 뿌리를 뻗습니다. 시골에서 싹트는 풀꽃두레가 없다시피 해요. 이러다 보니 풀꽃두레는 시골살이나 시골빛을 오히려 모르거나 등집니다. 옛 벼슬꾼뿐 아니라 새 벼슬꾼도 숲들바다를 짓뭉개지만 정작 아무런 목소리가 없고, 오히려 “멧자락 햇볕판”하고 “바다 바람날개(해상 풍력발전)”를 나라가 함박돈으로 밀어붙이도록 이바지합니다.


  서울 하늬녘에는 마을책집 세 곳 〈꽃 피는 책〉하고 〈호수책장〉하고 〈나무 곁에 서서〉가 이웃입니다. 세 곳은 들빛하고 물빛하고 멧빛으로 어우러지면서 다른 숨결입니다. 목소리로만 읊다가 빛바랜 적잖은 풀꽃두레와 달리, 이 마을책집 지기님이 일구는 ‘숲보’는 어린이하고 푸름이랑 어깨동무를 하면서 차근차근 걸어가는 푸른물결이라고 느낍니다.


  숲을 품고 노래하는 사람이 읽는 책은 숲책이 바탕일 테지만, 이보다는 언제나 하늘이요 해요 별이며 빗물이고 구름이자 바다이고 들녘에 풀벌레하고 새입니다. 굳이 종이에 얹은 풀책(식물도감)을 펴야 풀을 알 수 있지 않아요. 스스로 풀을 바라보고 훑고 혀에 얹고 씨앗을 받고 꽃을 누리면 저마다 다르면서 즐거이 풀을 익히고 사랑하는 길로 갑니다. 누가 붙인 이름을 외워야 새를 아끼지 않아요. 우리 나름대로 새를 지켜보고 동무하면서 새롭게 이름을 붙이면 됩니다.


  해는 어디에나 드리웁니다. 별은 어디에나 돋습니다. 마음을 뜬다면 해님을 맞아들이면서 해맑게 빛나는 몸으로 거듭납니다. 눈을 틔운다면 별빛을 받아들이면서 환하게 춤추는 마음으로 태어납니다.


  곁에 흐르는 바람을 느껴요. 곁에 곱살곱살 바람이 흐르도록 다독여요. 둘레에 피고 지는 꽃을 봐요. 마을에 송이송이 꽃이 피고 지도록 손길을 뻗어요. 사람이 심어서 자라는 풀꽃나무는 한 줌조차 안 됩니다. 풀벌레하고 새하고 짐승하고 비바람하고 해님에 별님이 심고 돌보는 풀꽃나무가 한가득입니다. 어린이하고 조그맣게 숲을 속삭입니다. 푸름이하고 새록새록 멧길을 맨발로 나들이합니다.


ㅅㄴㄹ


《철새, 생명의 날갯짓》(스즈키 마모루/김황 옮김, 천개의바람, 2018.10.26.)

《문장부호》(난주, 고래뱃속, 2016.11.21.)

《햇볕이 아깝잖아요》(야마자키 나오코라/정인영 옮김, 샘터, 2020.3.20.)

《소를 생각한다》(존 코널/노승영 옮김, 쌤앤파커스, 2019.12.26.)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고 “말꽃 짓는 책숲(사전 짓는 서재도서관)”을 꾸린다. 1992년부터 이 길을 걸었고, 쓴 책으로 《곁책》, 《쉬운 말이 평화》,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읽는 우리말 사전 1·2·3》, 《우리말 동시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시골에서 책 읽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들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