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1.6.18. 찾아온다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모든 일이나 놀이는 마음에 따라서 다릅니다. 쉽다고 생각하니 쉽고, 안 쉽다고 생각하니 안 쉬워요. 어렵다고 생각하니 어렵고, 안 어렵다고 생각하니 안 어렵습니다. 삶하고 죽음도 매한가지입니다. 삶을 생각하기에 삶을 지으면서 삶을 글이나 말로 담아냅니다. 죽음을 생각하니 죽음을 지으면서 죽음길로 차근차근 걸어갑니다.


  말꽃짓기를 할 적에는 “오늘 반드시 끝내겠어!” 같은 생각을 안 합니다. “오늘까지 익히고 받아들인 길에서 풀어내고 지나가자.”고 여깁니다. 두 가지 한자말 ‘만년(晩年·萬年)’을 놓고 꽤 여러 해 실랑이를 하다가 비로소 매듭을 짓고 지나가는데, 우리가 오래도록 익히 쓰던 말씨가 참 많더군요. 우리가 저마다 어떤 말씨로 ‘만년’을 가리킬 낱말을 펼쳤는가 하는 쓰임새가 낱낱이 떠올라서 제 혀끝을 스쳐 손끝으로 스며들기까지 여러 해 걸린 셈이로구나 싶습니다.


  얼핏 보면 글손질이나 다듬기이지만, 곰곰이 보면 제자리에 제대로 쓰는 즐거운 말씨를 상냥하게 헤아려서 온몸으로 녹이는 길입니다. 자꾸 넘어지던 아이가 다릿심을 길러 걷다가 달리고 뛰는 길하고 매한가지예요. 글쓰기가 어렵다고 여기는 분은 스스로 올챙이 적을 잊기 때문입니다. 어른인 이 몸이 아닌, 아기였던 예전 몸을 떠올려요. 어떻게 걸었나요? 어떻게 말꼬를 틔웠나요? 어떻게 수저를 집었나요? 어떻게 웃었나요?


  글쓰기를 둘러싸고서 숱한 책이 나오지만, 바로 이 수수께끼는 일부러 안 건드리는 듯싶습니다. 글쓰기란 말하기처럼 쉽거든요. 수다 못 하는 사람이 있는지요? 사람을 잔뜩 불러모은 자리에서 펴는 이야기 말고, 마음 맞는 사이에 속닥속닥하는 말을 못 하는 사람이 있는지요? 아니, 두 다리가 멀쩡히 있으면서 못 걷는다든지, 가슴이 멀쩡히 있으면서 숨을 못 쉬는 사람이 있는가요? 두 눈을 뜨면 뭔가 보기 마련입니다. 이처럼 글이란, 우리 생각을 그저 머리끝에서 혀끝을 거쳐 손끝으로 옮기는 가벼운 소꿉놀이입니다. 그냥 쓰면 되고, 신나게 쓰면 되고, 노래하고 춤추면서 쓰면 됩니다. 다만, 아기가 걸음을 가다듬듯, 우리 생각을 담아낼 낱말을 하나부터 열까지 추슬러야지요. 한자말이냐 영어냐를 따지기보다는, 제대로 제자리에 쓰는 말씨인가 하고 살필 노릇입니다. 제대로 제자리에 쓸 말씨인가 아닌가를 가늠하다 보면 일본스러운 한자말이나 미국스러운 말씨는 감쪽같이 사라진답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