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숨은책 459
《のはらひめ》
中川千尋
德間書店
1995.5.31.
제가 꽃을 그렇게 아끼고 좋아하는 줄 미처 몰랐습니다. 어릴 적에는 토끼풀꽃이나 개나리꽃을 톡 훑어서 귀에 꽂거나 머리에 얹으면서 놀았습니다. 순이만 꽃순이여야 하지 않아요. 돌이도 꽃돌이가 될 만합니다. 배움수렁을 거치고 열린배움터를 두 해쯤 다니고 새뜸나름이로 살다가 책마을 일꾼으로 들어가는 동안에는 꽃을 살짝 잊었습니다. 떠난 이오덕 어른이 남긴 글을 갈무리하려고 무너미마을을 오가는 사이에 문득 꽃내음을 다시 보고, 떠난 어른이 멧꽃을 얼마나 사랑했는가를 깨닫습니다. 멧꽃을 사랑하기에 멧꽃 같은 글을 쓰셨더군요. 2007년 4월에 인천으로 돌아가서 책마루숲(서재도서관)을 열며 골목마다 핀 들꽃을 새삼스레 봅니다. 어릴 적에는 뛰놀며 흘깃 보았고 어른이 되어서야 제대로 보더군요. 《のはらひめ》는 우리말로 옮기면 ‘들순이’쯤. 들에서 맨발로 놀다가 들꽃을 엮으면서 동무하고 노래하는 소꿉을 다뤄요. 나카가와 치히로 님 그림책을 하나둘 읽다가 일본책까지 장만했습니다. ‘들꽃아이·들빛순이’ 마음을 담은 손끝을 곧바로 느끼고 싶었어요. 우리나라도 이웃나라도 들순이에 숲돌이라면 아름다워요. 꽃아이랑 꽃어른이 손잡고 꽃노래를 부른다면 우리 삶터는 꽃터로 피어나겠지요. 꽃처럼 말하면 곱고요.
ㅅㄴ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