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1.2.10. 자르다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모든 말은 어느 한 곳에서만 쓰지 않습니다. 처음에는 딱 한 군데에서만 쓰려고 지은 말이지만, 삶을 잇는 사이 이곳에도 쓸 만하고 저곳에도 어울린다고 여겨, 차츰 쓰임새를 넓힙니다. ‘각하·폐하·전하’는 대단히 낡았을 뿐 아니라, 사람한테 위아래를 매기는 매우 몹쓸 말씨입니다. 그러나 아직 “대통령 각하”란 말씨가 걷히지 않아요. 나라지기란 나라일을 하는 심부름꾼이어야 할 테지만, 심부름이 아닌 힘으로 누르는 짓을 떨치지 않는 터라, ‘바른소리’를 하는 이들은 스스로 낮추면서 “대통령 각하”라든지 “시장님 귀하”나 “군수님 귀하” 같은 말씨를 못 버립니다.


  아이는 어머니나 아버지한테 ‘어머님·아버님’이라 안 씁니다. 이웃사람을 마주할 적에 높이려고 비로소 ‘어머님·아버님’이란 말을 얌전히 써요. 우리가 살가이 어울린다면 “아줌마, 잘 잤어?”나 “아저씨, 오늘 즐거워?” 하고 묻겠지요. “엄마, 오늘 뭐 해?”나 “아빠, 이제 뭐 먹을까?” 하고 묻듯이 말이지요. 버릇없이 굴지 말고 고분고분 굴어야 한다지만, 사랑이란 자리와 눈길로 마주한다면, 우리는 서로 몸나이 아닌 마음빛을 느끼면서 읽기 마련입니다. 사랑이란 마음빛으로 어울릴 적에는 ‘말놓기(반말)’가 아닌 스스럼없이 흐르는 물살이나 빛살처럼 포근히 토닥일 줄 아는 말빛이 되어요.


  낡은 말씨 ‘각하’를 어떻게 치우면 좋을까 하고 생각하다 보니 ‘閣下’ 말고도 ‘却下’가 있습니다. ‘각하(却下)’ 옆에는 ‘기각(棄却)’이 있네요. 이런 말을 굳이 써야 할까요? 이런 말을 안 쓰면 삶길(법도)을 여미지 못할까요? ‘물리다·물리치다’나 ‘끝내다·자르다’나 ‘손사래·내치다’를 어느 곳에서든 즐겁고 아늑히 쓸 마음을 언제쯤 열까요?


  이 말씨 저 말씨를 추스르다가 ‘자르다’란 우리말이 어떤 품인가를 하나하나 짚는데, 짚으면 짚을수록 쓰임새가 더없이 넓습니다. ‘절단’이나 ‘컷’뿐 아니라 ‘정리·결론’에 ‘낙마·감점’을 지나 ‘사절·사양·거부·비토’를 거치고 ‘반대·금기·터부’에다가 ‘불신·기피’랑 ‘퇴짜·감봉·정리해고’까지 온갖 곳에 ‘자르다’를 수수하면서 알맞게 쓸 만해요. 우리 스스로 이처럼 곳곳에 쓰지만, 막상 낱말책에는 이 여러 쓰임새가 아직 못 담길 뿐더러, 우리 스스로도 온갖 곳에 알맞게 쓸 만한 줄 잊어버리기까지 합니다.


  낡은 굴레를 잘라야 새싹이 돋습니다. 케케묵은 사슬을 쳐야 나무가 자라요. 어제는 곁님하고 한참 삶이 무엇인가를 이야기하다가 ‘꽈배기’가 ‘나선’이란 한자말을 담아내는 줄 뒤늦게 깨달았습니다.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