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라카몬 13
요시노 사츠키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1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푸른책/숲노래 만화책

가고 싶은 길을 찾았으면



《바라카몬 13》

 요시노 사츠키

 오경화 옮김

 대원씨아이

 2016.6.30.



  《바라카몬 13》(요시노 사츠키/오경화 옮김, 대원씨아이, 2016)을 펴면, 붓잡이라는 길을 어떻게 가고 싶은가를 헤아리는 하루가 흐릅니다. 붓잡이를 하느냐 마느냐가 아닌, 어떤 붓잡이로 살아가느냐 하는 갈림길에서 ‘어디에서 살며’ 붓잡이라는 자리에 서느냐까지 생각하는 삶이 드러납니다.


  그래요, 붓은 어디에서나 쥘 만합니다. 서울에서도 시골에서도 쥐면 돼요. 더구나 서울에서 붓을 쥐는 사람은 수두룩합니다. 숱한 이웃 붓잡이하고 부딪히거나 마주하면서 붓길을 가도 나쁘지 않고, 고요히 숲이며 바다이며 마을이며 아이들을 마주하면서 붓길을 가도 즐겁습니다.


  더 나은 길이란 없어요. 글은 어디에서나 글입니다. 얼핏 본다면 서울 한복판에 일감이 훨씬 많아 보일 텐데, 일감이 훨씬 많은 서울 한복판인 만큼 하늘바라기를 할 틈이라든지, 아이들하고 뒤섞이면서 느긋이 노래할 겨를은 없기 마련입니다. 서울에서 일하는 사람치고 아이를 곁에 두면서 일손을 잡는 사람은 아주 없다시피 합니다.


  이와 달리 일감이 적더라도 스스로 시골살이나 숲살이를 한다면, 벌이는 낮아도 하늘바라기나 숲바라기를 할 틈이 넉넉할 뿐 아니라, 아이들하고 신나게 뒤섞이면서 하루를 노래할 만하지요. 이런 두 갈랫길 가운데 어느 쪽이 낫거나 좋다고 말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그저 한 가지는 헤아리면 좋겠어요. 오늘 ‘어른’이란 몸을 입은 채 살아가더라도, 모든 어른은 처음에 ‘아이’였습니다. 아이라는 살림과 숨결을 사랑으로 바라보면서 품지 않는다면, 어떤 ‘어른 일거리·돈벌이’라도 좀 덧없지 않을까요?


  아이들은 돈을 더 바랄까요, 같이 노는 손길을 마음 깊이 바랄까요? 아이들은 자가용에 태워서 나들이를 다니기를 바랄까요, 서로 손을 잡고 들꽃도 보고 바람도 쐬고 구름바라기도 하는 마실을 바랄까요?


  가고 싶은 길을 찾았으면 노래하면서 갈 노릇입니다. 가고 싶은 길을 찾았기에 춤추면서 가면 됩니다. 가고 싶은 길에 섰으니 이제부터 활짝 웃고 날개를 펴면서 새롭게 사랑을 길어올리면 돼요.


ㅅㄴㄹ


“서예가로선 좋은 실력을 가졌지만, 난 너 안 좋아해. 아무리 좋은 작품을 내도, 결국 사람은 사람한테 돈을 내는 거야.” (8쪽)


“널 돋보이게 해주는 프로가 있다는 걸 모쪼록 잊지 마.” (43쪽)


“그 글씨가 훌륭하다고 보나?” “네. 너무나.” “그럼 자네의 천장은 거기야.” (141쪽)


“난 딱히 겸손을 부리며 하는 말이 아닐세. 글러먹은 글씨는 글러먹은 거야.” (142쪽)


“한다 씨는 혼자 있을 때는 한다 씨인데, 나루랑 같이 있으면 한다 선생님이라고 부르고 싶어져요.” (176쪽)


“한다 선생님은 그냥 한다 선생님이야. 그 외엔 떠오르지 않아.” (186쪽)

.

#ばらかもん #ヨシノサツキ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