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


말꽃 짓는 책숲 2020.12.7. 빛날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책숲 얘기종이인 〈삶말〉을 지난 흙날에 받고서 달날에 부치려고 두 아이하고 자리맡에 앉았습니다. 처음에는 작은아이가 거들고, 나중에는 큰아이가 거들어요. 두 아이 손힘을 얻어 수월하게 매듭짓습니다. 〈삶말 57〉에는 ‘도서정가제 바라보기’를 놓고서 글을 하나 여미어서 실었습니다. 얘기종이에 꾹꾹 눌러담느라 길이를 꽤 줄였는데, 책숲 이웃님한테 이바지하는 글이 되면 좋겠습니다. 짐도 있고, 읍내 법무사를 찾아갈 일이 있어 읍내 우체국으로 갔는데, 어느새 또 바뀐 새 일꾼은 일머리를 새삼스레 모릅니다. 인천에서 살며 우체국에 다닐 적에는 ‘일꾼이 바뀐들 딱히 달라지지 않’았으나, 고흥에서 살며 지난 2011년부터 2020년 끝자락까지 읍내 우체국 일꾼은 왜 이렇게 일머리가 없고 일을 모를 뿐 아니라, 그들이 맡는 일을 귀찮아하는지 아리송해요.


  얼핏 둘레에서 얘기를 들으면 “여봐, 왜 그런지 모르나? 시골에서도 가장 구석퉁이인 고흥까지 와서 일하려니 다들 죽을맛이라고 해? 모르나? 고흥사람이 고흥 공무원으로 일하는 줄 아나? 아녀. 가까우면 순천이지만, 광주에서 날마다 출퇴근하는 사람 허벌나게 많어! 그러니 그들은 얼른 순환보직 끝나고 이 시골구석에서 빠져나가기만 기다리지!” 합니다. 아마 이 말이 맞을 듯합니다만, 그렇더라도 그들 벼슬꾼은 왜 그래야 할까요? 그들 일삯은 바로 우리가 일해서 번 돈을 나라에 낸 ‘낛(세금)’으로 받는걸요.


  저는 12월 7일을 그냥 좋아합니다. 제가 이날에 태어나서 좋아하지 않아요. 대여섯 살 무렵까지는 잘 모르다가, 일곱 살로 접어들고서 ‘대설’이라 적힌 글씨를 어머니한테 여쭈었는데요, “어머니, 이 글씨 뭐야?” “응, 한자로 대설이라고 해.” “대설이 뭐야?” “큰눈! 눈이 많이 온다는 뜻.” “와, 되게 좋은 날이네!” 하고 이야기를 하면서 12월 7일이란 날을 늘 설레며 기다렸어요. 막상 이날에 눈을 본 일은 두어 손가락에 꼽을 만큼 적었지만.


  2020년 12월 7일에도 눈바람은 일지 않은 듯합니다. 고흥만 조용하고 다른 곳에는 눈이 왔을는지 모르지요. 제 난날도 아이들 난날도 곁님 난날도, 할머니 할아버지 난날도 안 챙기는, 그저 모든 하루가 새롭게 태어나는 빛날이라 여기는 터라, 아무것도 안 받고(따지고 보면 아무도 아무것도 안 주었다고 해야 맞지만) 조용히 지나갑니다. 조용히 지나가니 홀가분합니다. 그래도 문득 뭔가 스스로 주어 볼까 싶어, 가게에 들러 2000원짜리 진로 포도술 한 병을 장만합니다. 포도술 한 병이면 넉넉하지요. 저녁에는 아이들 조잘거리는 소리를 들으며 일찍 잠들었습니다.

.

.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

.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