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노래책
노래책시렁 164
《능소화가 피면서 악기를 창가에 걸어둘 수 있게 되었다》
안도현
창비
2020.9.25.
바지런히 도마질을 하고 불을 올려 밥을 짓습니다. 다 지은 밥을 차곡차곡 차립니다. 부지런히 빨래를 하고, 다 마친 빨래는 아이들더러 마당에 내놓아 해바라기를 시키라고 이야기합니다. 아이들이 많이 어릴 적에는 모두 혼자 했으나, 이제 설거지쯤 아이들한테 슬쩍 맡기고, 때로는 아이들이 손수 지어 먹도록 하며, 빨래를 널고 개는 심부름은 으레 다 맡깁니다. 왜냐하면 날마다 밥을 먹고 옷을 입으며 잠을 잔다면, 밥옷집 살림이며 일을 함께해야 즐겁거든요. 2020년 첫가을에 안도현 님이 새 노래책(시집)을 내놓았다고 합니다. ㅂ 씨가 나라지기 자리에 있을 적에는 글을 쓸 마음이 안 들었는데, ㅁ 씨가 나라지기 자리에 서도록 애쓴 끝에 이제 노래책을 내놓을 만하다고 여긴다고 합니다. 나라지기를 쳐다보며 마음에 안 드는 누구 탓에 붓을 꺾을 수 있어요. 아이들을 바라보며 아이들이 아름답고 즐거이 살아갈 터전을 꿈꾸며 붓심을 더욱 키울 수 있어요. 어느 길이 옳다고 가를 마음이 없습니다. 서로 다른 눈빛으로 서로 다른 터전에서 서로 다른 마음으로 살아갈 뿐이거든요. 다만 저는 ㅂ 씨도 ㅁ 씨도 ㅇ 씨도 ㄴ 씨도 ㄱ 씨도 모두 쳐다볼 마음이 없습니다. 아이들을, 숲을, 마을을, 푸른별을, 풀꽃나무를 고이 품을 생각입니다.
전주를 떠나야겠다고 생각한 이후 / 아직 쓰지 못한 것들의 목록을 적었다 / 뚝 너머, 라고 부르지만 / 둑 너머, 라고 쓰면 거기가 아닌 것 같은 거기 (너머/28쪽)
.
고독하지 않기 위해 출근을 했고 밥이 오면 숟가락을 들었죠 강연 요청이 오면 기차를 타고 갔고 어제는 대통령선거를 도왔어요. (시 창작 강의/30쪽)
.
ㅅㄴ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