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0.10.19.


《향모를 땋으며》

 로빈 월 키머러 글/노승영 옮김, 에이도스, 2020.1.17.



아이들하고 서울이나 큰고장에 마실을 할 적이면 “아, 나무도 없고 뭐가 이래?”라든지 “아, 별도 없고 뭐가 이래?” 같은 말을 터뜨린다. 이렇게 말을 터뜨리는 아이들한테 “아버지가 잘못했구나. 나무도 별도 없는 데에 너희들을 데리고 왔네.” 하고 속삭인다. 나무가 없다면 그곳엔 풀도 없다. 풀이 없으면 그곳엔 나무도 없다. 나무랑 풀이 없다면 그곳엔 벌이나 나비나 풀벌레나 새도 없다. 벌이나 나비나 풀벌레나 새가 없다면 그곳에는 풀꽃나무가 없다. 우리는 왜 책을 읽을까? 우리는 왜 배움터를 다니거나 아이들을 배움터에 보낼까? 나라지기나 벼슬아치는 어떤 일을 펼까? 왜 숲을 밀고서 찻길을 닦을까? 왜 들을 없애고서 잿빛집을 올릴까? 《향모를 땋으며》는 어떤 책일까? ‘향모’란 뭘까? ‘Sweetgrass’를 ‘향모’로 옮겼지 싶은데, ‘달콤 + 풀’이라면 ‘달콤풀’이나 ‘달달풀’일 테고, 살짝 바꾸어 ‘향긋풀’도 되겠지. 우리 곁에서 자라는 들풀을 보면 풀이름이 매우 쉽다. 고장마다 풀이름이 다르다. 저마다 제 보금자리에서 살림을 짓는 동안 삶말로 풀이름을 붙였고, 나무이름을 달았다. 풀꽃나무를 들려주는 책이 ‘풀꽃나무하고 어깨동무하는 말’로 나오면 좋겠는데, 외려 어려울까? 흙지기가 읽기에 꽤 벅차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