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마실
새로 만나는 나들꽃 (2019.9.3.)
― 서울 신촌 〈글벗서점〉
언뜻 본다면 날마다 끼니로 누리는 밥은 ‘똑같이’ 하는 일입니다. ‘되풀이’라 하겠지요. 늘 똑같이 차려서 늘 되풀이하듯 끼니를 채워야 한다면 지겹다고 여길 만합니다. 가만히 앉아서 밥자리를 누리는 사람도 지겨울 테고, 부산스레 움직여 밥자리를 챙기는 사람도 고단하면서 지겨울 테지요.
얼핏 본다면 나날이 똑같이 하는구나 싶은 일이나 놀이라지만, ‘새롭게’ 바라보고 헤아리면서 맞아들인다면, 이렇게 생각하는 마음 그대로 새롭기 마련이면서, 즐겁고 사랑스럽고 반갑기까지 합니다. 밥 한 그릇을 마주해도, 책 한 자락을 쥐어도, 마실 한 걸음을 해도, 우리는 늘 새롭게 노래할 만해요.
책집마실을 하는 길은 ‘어제하고 다르게 만나면서 마음을 북돋울 이야기꿈’을 설레면서 만나는 하루입니다. 어제 읽은 책을 오늘 다시 쥐어 펼치더라도 어제하고는 다르게 새기거나 헤아려요. 어제는 어제까지 살아온 결대로 새깁니다. 오늘은 오늘까지 더 살아내며 살림한 눈빛대로 헤아려요.
새로 만나는 하루이기에 삶입니다. 새로 만나는 하루에 책을 곁에 두기에 책삶입니다. 새로 만나는 하루에 책을 곁에 두어 마음을 살찌우기에 책사랑이고, 책사랑길이자, 책사랑노래예요.
우리 보금자리 가까이에 마을책집이 있다면 틈틈이 마실해 봐요. 오늘은 책을 사러, 이튿날에는 책을 읽으러, 이다음에는 책을 장만하러, 그다음에는 책집지기랑 도란도란 책수다를 하러, 이러고서 새삼스레 책을 사들이러, 사뿐히 새걸음을 떼어 봐요. 우리 보금자리에서 먼먼 곳에 마을책집이 있다면 이따금 나들이를 해요. 이 걸음은 나들꽃이 되도록, 이다음 걸음은 나들빛이 되도록, 나들벗이 되어 봐요.
《물의 아이들》(찰스 킹즐리 글·위릭 고블 그림/김영선 옮김, 시공사, 2006)
《모든 새끼오리에게는 아빠가 있다》(레오 버스카글리아/정성호 옮김, 언어문화사, 1989)
《아빠 고향》(최나, 연변인민출판사, 2009)
《티벳, 나의 조국이여》(달라이 라마/김철·강건기 옮김, 정신세계사, 1988)
《즐거운 요리 365일, 재료 5천원이하》(레이디경향 생활팀 엮음, 경향신문사, 1987)
《엄마와 딸》(신달자, 민음사, 2012)
《Harta》(kadokwa) 54호(2018.May)
《生은 다른 곳에》(밀란 쿤데라/안정효 옮김, 까치, 1988)
《岩合光昭の大自然 100》(岩合光昭, 小學館, 2003.5.10.)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사전을 쓰고 “사전 짓는 책숲(사전 짓는 서재도서관)”을 꾸린다. 1992년부터 이 길을 걸었고, 쓴 책으로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읽는 우리말 사전 1·2·3》, 《우리말 동시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시골에서 책 읽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들이 있다.
[책숲마실 파는곳]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6683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