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숨은책 348


《우표》 124호

 이정호 엮음

 재단법인 체성회

 1976.3.1.



  우표라는 종이를 왜 모았을까 하고 돌아보면, 이 조그마한 종이로 ‘살아가는 오늘, 살아온 어제’ 두 가지를 갈무리하기 때문이었지 싶습니다. 지나간 지 얼마 안 되는 날을 둘레에서 알려주는 일이 드물고, 잘 떠올리지 못하기 일쑤라고 느꼈어요. ‘우표에 새긴 발자취’라고 한다면 으레 ‘나라 자랑질’이기 마련이지만,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우표나 ‘대통령 해외순방’ 우표뿐 아니라 ‘천연기념물’이나 ‘이 나라 새’나 ‘이 나라 숨은 멋터’나 ‘이 나라 악기나 옷’을 우표로 만날 수 있었어요. 나중에는 만화 우표까지 나옵니다. 여느 초·중·고등학교나 대학교는 아직도 만화를 만화라는 갈래로 따로 제대로 들여다보거나 다루지 못합니다만, 우표는 일찌감치 만화조차 ‘우리 살림살이’ 가운데 하나로 여겼습니다. 나라밖 우표에도 눈길이 갔어요. 나라밖 이야기도 신문·방송으로는 너무 좁았고, 학교나 집이나 마을에서는 더더구나 듣기 어렵지만, 나라밖 우표를 들여다보면서 온누리 여러 나라 수수한 살림자취나 ‘그 나라 자랑질’을 엿보았어요. 우체국에 가면 달책 《우표》가 있습니다. 우체국에 가서 서서 읽고, 돈을 모아 받아보았어요. ‘새’를 담은 우표를 크게 담은 《우표》 124호는 여러모로 애틋합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