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책숲말 2020.5.23. 바닷사람


시골에 살아 시골사람입니다. 서울에 살아 서울사람입니다. 집에 있기에 집사람이요, 마을에는 마을사람이, 고을에는 고을사람이, 고장에는 고장사람이 있습니다. 우리 삶터를 별로 바라본다면 별사람을 헤아릴 만하지요. 겨레나 나라란 울타리로 바라보면 겨레사람이나 나라사람이 되겠지요. 숲을 사랑하여 숲사람이요, 바다를 품으며 바닷사람입니다. 들에서는 들사람이고, 꽃다워 꽃사람입니다. 우리는 어떤 사람으로 오늘 이곳에 있고 싶을까요? 씩씩하게 살아도 좋고, 시름시름 앓아도 좋습니다. 다부진 몸짓이 될 수 있지만, 여리거나 망설일 수 있어요. 아직 의젓하지 않다면, 우렁차게 목소리를 내지 못한다면, 머뭇머뭇하거나 나즈막한 목소리를 조금씩 키워도 돼요. 쭈뼛대거나 더듬는 목소리로도 우리 뜻을 찬찬히 펴도 될 테지요. 언제나 마음으로 짓는 숨결이기에, 푸르게 우거진 숲에 깃들 때에만 깨끗한 몸이지 않습니다. 큰고장 한복판에서도 싱그러이 바람을 먹고 해를 안으면서 티없는 눈망울이 될 만해요. 스스로 푸르게 파랗게 마음을 다스리며 온돌을 살아내면 어떨까요? 한꺼번에 나아가는 온돌이 아닌, 첫돌 두돌을 차근차근 이어 온돌입니다. ㅅㄴㄹ


뱃사람·바닷사람 ← 어부, 어민, 어업인, 수부(水夫), 사공(沙工), 선원(船員), 마도로스(matroos), 세일러(sailor)

씩씩하다·거침없다·걸걸하다·다부지다·당차다·야무지다·야물다·시원하다· 우렁차다·헌걸차다·찰지다·의젓하다·기운차다·힘차다 ← 호방(豪放)

깨끗하다·맑다·정갈하다·티없다·푸르다 ← 청빈, 청렴

온돌 ← 백년(100년), 백주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