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거리 뚝딱뚝딱 나래책 3
김휘훈 지음 / 그림책공작소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푸른책

오늘 하루 어떻게 보냈니?



《하루거리》

 김휘훈

 그림책공작소

 2020.1.30.



  누구는 학교를 다니며 받는 ‘개근상’이 대수롭지 않을 만합니다. 그러나 고삭부리라는 몸을 타고난 아이라면 한 해 내내 학교를 안 빠지기란 너무 어렵습니다. 아주 고삭부리가 아니더라도 곧잘 끙끙 앓는 여린 몸이어도 개근상이란 까마득할 만합니다.


  저는 고삭부리인 몸으로 태어난 터라 툭하면 앓았고, 걸핏하면 드러누웠습니다. 겉보기로는 멀쩡한 듯하지만 몸 곳곳이 말썽인 채 태어났구나 싶더군요. 마흔 해가 조금 못 되는 지난날, 병원에서 의사가 그러더군요. “수술을 해도 완치될 가능성은 없지만, 수술을 하는 편이 좋겠습니다.” 하고. 어머니는 의사 말대로 몸에 칼을 대려 하셨고, 저는 몸에 칼을 대기가 끔찍하게 싫어 꽤 오래 울며불며 매달렸어요. 몸에 칼을 대도 낫지 않는다면 몸에 칼을 대야 할 까닭이 없지 않을까요.



순자는 일만 했지 노는 걸 못 봤어.

늘 머리에 광주리를 이고 다녔지.

“쑥 사세요! 콩밭열무 사세요!”

나물해다가 골목골목 팔러 다니는 거야. (7쪽)



  학교나 마을에서 들려주는 옛이야기에서는 ‘옛날에는 집집마다 아이가 많아, 골골거리는 몸으로 태어나면 쉽게 버린다’고 했어요. 이런 옛이야기를 들려주는 어른이 참 미웠습니다. 그 어른 스스로 얼마나 골골거려 보았기에 그런 옛이야기를 들려줄까요?


 그러나 그 옛이야기를 들었기 때문인지, 끙끙 앓으며 드러누워 죽는지 사는지 알 길이 없이 꿈에서 헤맬 적에 아스라한 옛날 모습이 머리에 환하게 떠올랐습니다. 꿈에서 본 모습인데, 골골거리는 동생 곁에 언니들이 둘러앉아서 걱정을 하지요. 골골거리는 동생은 ‘나는 곧 죽을 테니 난 안 먹어도 돼.’ 하면서 밥을 물리고 조용히 숨을 거둡니다.



날이 저물면 밀린 집안일은 좀 많아?

그러니 동무들은 마당에 멍석 깔아놓고

“야! 별똥 떨어진다!”

이래가며 노는데

순자한테는 그게

아주 딴 세상 얘기란 말이지. (11쪽)



  할머니가 들려준 삶이야기를 곰곰이 헤아려 새롭게 담아낸 《하루거리》(김휘훈, 그림책공작소, 2020)를 읽었습니다. ‘하루거리’를 놓고서 이야기를 엮은 그림책이라고도 할 만하지만, 이보다는 ‘하루거리’를 그림감으로 삼아 온갖 이야기를 한 올 두 올 엮었구나 싶습니다.


  무엇보다 동무 이야기를 다룹니다. 다음으로 놀이 이야기를 다룹니다. 다음으로 들이며 숲 이야기를 다룹니다. 다음으로 살림 이야기를 다룹니다. 다음으로 마음이란 이야기를 다룹니다. 다음으로 마을 이야기를 다룹니다. 다음으로 꿈하고 사랑이란 이야기를 다룹니다. 다음으로 오늘 우리가 누리는 하루가 어떠한 길을 나아가느냐 하는 이야기를 다룹니다. 다음으로 별빛을 받으며 마음을 달래는 이야기를 다룹니다. 다음으로 삶하고 죽음 사이에는 오직 한 가지 빛줄기가 있다는 이야기를 다룹니다.



“물할머니, 물할아버지! 순자 몸이

덜덜 떨려서 꼭 설맞은 닭 같습니다.

좀 낫게 해 주셔요.”

그런데 어째 순자가 조용한 거야.

“순자야, 너 잘 따라했지?”

“아니, 죽게 해달라고 빌었어.”

“뭐! 참말이니? 참말 죽고 싶어?”

“응…….” (20∼21쪽)



  그림책 《하루거리》는 ‘순자’란 아이를 둘러싼 마을살이 한 토막을 짚습니다. 이 그림책에 흐르는 마을을 보면 집집마다 풀로 이은 지붕이니, 이즈막에는 딱히 학교란 데가 없겠지요. 마을이 고스란히 학교인 셈입니다. 따로 아이들을 이끄는 교사란 어른이 없습니다만, 아이들은 서로서로 길잡이가 되고 길동무가 됩니다.


  엉뚱하다 싶은 길로 빠지기도 하지만, 뭔가 어그러지면 다시 머리를 맞대고, 차근차근 이야기를 해요. 가장 나은 길을 찾으려고 머리를 쥐어짜고, 무엇보다도 이웃집 동무하고 어깨를 겯고서 함께 놀고 함께 일하고 함께 꿈꾸고 함께 웃고 함께 떠들고 함께 낮잠을 자고 함께 별바라기를 하는 하루를 그리려고 합니다.



정혜는 순자를 자기네 집 뒷간에 밀어넣고 말했어.

“여기서 이 달걀을 다 먹어.

그럼 밤사이에 병이 뚝 떨어질 거야.”

동무들은 달걀 먹이려다 괜히 애먹이면 어쩌나 싶었지. (29쪽)



  어쩌다 보니 순자란 아이는 곁에 피붙이가 하나도 없습니다. 크지도 작지도 않은 집에 덩그러니 혼자입니다. 말을 섞을 사람이 없고, 말을 걸 사람이 없습니다. 때 되어 밥을 먹으라느니, 심부름을 하라느니, 몸을 씻으라느니, 옷을 빨라느니, 이부자리를 깔라느리, 이불을 개라느니, 마당에 비질을 하라느니 …… 잔소리도 군소리도 살림소리도 사랑소리도 노랫소리도 들려줄 사람이 없습니다.


  말을 걸어올 사람이 없으니 스스로 나서서 말을 할 일이 없습니다. 이런 나날을 보내는 순자는 마음에 한 가지 생각을 심어요. 바로 ‘죽음’입니다. 죽음처럼 사느니, 삶을 마감하고 죽음으로 가는 길이 낫다고 여깁니다.


  이때에 마을 또래는 순자한테 살그마니 다가가서 말을 섞어요. ‘하루거리’에 걸리지 않았나 걱정하면서, 또 순자하고 놀고 싶은 마음에, 또 스스로 배우고 살림하는 마을이란 터전을 얼결에 복닥복닥 가꾼다고 할까요.



그때 분이 눈에 하얗게 열린 박이 보였어.

“잠깐, 얘들아! 어디 참인지 볼래?

순자가 참말 죽고 싶은지 아닌지.” (41쪽)



  삶이 아닌 죽음을 바라는 순자라는 동무한테 마을 아이들은 무슨 말을 하거나 무엇을 해줄 만할까요. 그런가 하고 지나치면 될까요, 어른한테 이르면 될까요, 씨나락 까먹는 소리라 여기며 귓등으로 흘리면 될까요, 벼랑에서 등을 밀면 될까요?


  그림책 《하루거리》에 나오는 아이들은 곰곰이 생각하고 또 생각합니다. 서로서로 이야기를 하고 자꾸자꾸 이야기를 합니다. 어떡해야 할까, 순자랑 동무로 지내고 싶은데, 순자가 별똥도 함께 보고 나무도 함께 타고 온갖 놀이도 함께 누리면 좋을 텐데, 참말로 어떡해야 하나 하고 생각하지요.



“어머, 순자 너 몸이 튼튼한가 보다.”

“그거 먹으면 다 죽는데, 너만 안 죽는댜 야.”

“우와, 순자 참말로 오래 살려나 보다!”

“다행이지 뭐야, 너 죽었으면 우린 어쩔 뻔했니?” (48쪽)



  그림책을 일군 분 할머니는 지난날 어떤 하루를 보내셨을까요? 그림님 할머니는 순자였을까요, 아니면 여러 마을 아이들 가운데 하나였을까요? 그림님 할머니는 어떤 눈빛에 마음으로 이녁 아이한테 옛이야기를 들려주었을까요?


  그림님 김휘훈 님은 어제를 바탕으로 오늘을 새로 들려주는 그림책을 갈무리했습니다. 마을 어른이 그냥그냥 보는 눈길이 아닌, 마을 아이가 차근차근 보는 눈길에서 피어나는 마음을 살짝 얹습니다. 근심걱정으로는 아무것도 바꾸지 못하지만, 즐겁게 놀이하며 나무랑 별하고 가까이 지내는 하루가 얼마나 즐거우면서 놀라운가 하는 발걸음을 가만히 옮깁니다.


  흙빛을 담은 그림책입니다. 흙빛에 드리우는 별빛을 사랑하는 그림책입니다. 흙빛에 깃드는 빗물빛을, 냇물빛을, 바닷물빛을 꿈꾸는 그림책입니다.


  앓는 사람한테는 하루가 그지없이 길며 끔찍합니다. 몸앓이도 몸앓이일 테지만, 마음앓이로 힘든 사람한테 하루는 가없이 까마득하면서 쓸쓸합니다. 우리는 오늘 하루를 어떤 보금자리가, 마을이, 길이, 살림이, 사랑이, 노래가, 놀이가, 이야기가 되도록 보내는가요?


  낮에 나무를 타며 매실을 따다가 나무를 쓰다듬으면서 큰소리로 말했어요. “우리 집 나무는 참 튼튼하고 아름답고 사랑스럽지.” 이 말소리를 들은 나무가 파르르 춤추면서 휘잉휘잉 바람을 불러서 머리카락을 쏴아아 날려 주더군요. 우리 입에서 터져나오는 모든 말은 오늘 하루를 살리기도 하지만, 죽이기도 하는, 무엇보다도 사랑으로 나아가도록 하는 별빛 같은 씨앗이 되는구나 싶습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한국말사전을 쓰고 “사전 짓는 책숲(사전 짓는 서재도서관)”을 꾸린다. 1992년부터 이 길을 걸었고, 쓴 책으로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읽는 우리말 사전 1·2·3》, 《우리말 동시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시골에서 책 읽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들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