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정답 : 정답이 궁금한 사람은 끝까지 정답을 알지 못한다. 정답이 무엇이라는 말소리를 듣더라도 마음으로 알아내지 못한다. 정답을 궁금해 하지 않기에 어느새 정답에 다가설 뿐 아니라, 삶이 고스란히 정답을 녹여내는 몸짓이 된다. 수수께끼를 열여섯 줄 동시로 갈무리했다. 한 해 동안 이 일을 하면서 둘레에 슬그머니 여쭌다. 마음으로 이 수수께끼를 들은 어린이나 어른은 빙그레 웃으면서 “그거 그거네요!” 한다. 마음읽기로 수수께끼 이야기를 맞이하는 어린이하고 어른은 내가 쓴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를 하나도 안 틀리고 대번에 맞추더라. 그러나 마음읽기 없이 서두르거나 빨리빨리 읽어내려 하는 이는 하나도 못 맞출 뿐 아니라 “뭐예요? 다 그게 그거인 동시 아냐? 문제가 너무 어려워?” 하고 대꾸한다. 이 대꾸를 듣고 느낀다. 그래, 나는 ‘우리말 + 수수께끼 + 동시’에다가 ‘사전’을 엮은, 다시 말하자면 ‘우리말 + 수수께끼 + 동시 + 사전 + 살림 + 노래’를 들려주려 하는데, 그쪽에서는 ‘정답 맞추기 문제’로 여기니 하나도 못 맞출밖에. 이러면서 툴툴거릴밖에. 이리하여 새삼스레 ‘어른시’를 한 자락 적어 본다. 2020.3.31.


빨리 읽어내어

빨리 맞추려고 하면

모두 어렵습니다


혀에 얹고

마음을 실어

느긋하게 읽으면서

머리에 그림을 그리는


동시 하나를 놓고

하루나 이틀을 누리듯

천천히 나아가지 않고

후딱 정답만 알아내려 하면

모두 헷갈리겠지요


적어도

한 해를 놓고서

함께 읽으면

모두 맞추겠지요


서둘러 읽으면 못 맞춥니다

서둘러 쓰면 알맹이가 없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