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자연의 일부입니다 - 풀꽃세상 환경 특강 철수와 영희를 위한 사회 읽기 시리즈 5
박병상 외 지음, 풀꽃세상 기획 / 철수와영희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숲책 읽기 159


《우리는 자연의 일부입니다》

 풀꽃세상 기획

 박병상·이상수·심재훈·이시우

 철수와영희

 2020.1.25.



멀쩡한 자연을 훼손시키고 그 위에 생태 교육장을 만들고요. 녹색성장을 이야기하면서 강을 파헤칩니다 … 그들이 말하는 ‘스마트 농장’은 농사짓는 곳이 아니에요. 그저 자본이 지어 놓은 시설입니다. (23쪽)


그렇게 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 시설을 왜 서울이나 수도권에 짓지 않는 걸까요? 당연하게도 혐오 시설이기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위험해요. 그래서 핵발전소 지역 주민들은 늘 도시의 안락함을 위해 희생당해요. (28∼29쪽)


사실 독일은 재생 에너지로 전보다 더 많은 일자리를 창출했는데요, 이는 독일사람들의 85퍼센트가 핵발전소를 줄여 재생 에너지를 확충하는 방안을 찬성하는 이유 중 하나라고 합니다. (55쪽)


우리의 먹을거리가 되는 가축은 우리가 생각하듯이 농가나 농장에서 자라지 않습니다. 축산 기업에서 제품처럼 생산됩니다. (81쪽)


당시(1967년 한국에) 고엽제를 뿌리면서 제초제 실험도 같이 합니다 … 군사 목적이 아니지요. 냉전을 핑계로 자기들 상품 개발하는 데 한국 땅을 이용한 겁니다. 비무장 지대를 미군의 점령 지역으로 공식화하고 있던 그런 조건이 아니면 어느 나라가 그걸 허락하겠어요. (105쪽)



  2019년에 고흥군은 ‘스마트팜’을 펴는 고장으로 뽑혀서 나라돈을 엄청나게 끌어들인다면서 곳곳에 걸개천이 나부꼈습니다. 사람손이 가지 않는 전자동 유리온실을 지어서 손전화로 척척 다루는 스마트팜이라는데, 고흥에서 ‘스마트팜을 지을 터’를 다녀온 적 있어요. 그곳은 어느 화력발전소에서 가져온 잿더미가 두껍게 덮였더군요.


  나라에서 어마어마한 돈을 들여서 곳곳에 세우려고 하는 스마트팜은 흙에 씨앗을 심어서 거두지 않습니다. 바닥을 시멘트로 다진 다음에 물을 주어서 키운다지요. 흙이 없이, 비도 없이, 해도 없이, 오직 전기하고 수돗물로 키우는 곳이 스마트팜인데 화력발전소 쓰레기를 잔뜩 들이부은 데를 시멘트로 덮고서 유리온실을 짓는다더군요.


  우리는 이 나라에서 벌어지는 일을 얼마나 알까요? 또는 모를까요? 지난날 이명박이라는 사람이 냇물을 반듯하게 편다면서 수십 조에 이르는 돈을 들이부은 적이 있습니다. 이제 그 짓이 얼마나 터무니없는가를 모르는 사람은 없습니다. 그러나 스마트팜 같은 나라일도 얼마나 어이없는가를 모르는 사람이 무척 많아요.


  숲책 《우리는 자연의 일부입니다》(풀꽃세상, 철수와영희, 2020)를 읽으면 첫머리로 이야기를 펴는 분이 바로 이 스마트팜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그러나 시골에서 살지 않는 분이라면 스마트팜이란 이름부터 낯설 테고 무엇이 어떻게 말썽이며, 그런 일을 꾀한다면서 얼마나 어마어마한 돈이 허투루 흘러나가는가를 어림조차 못하리라 봅니다.


  이름은 비무장지대이지만 온갖 무기가 가장 많은 곳이 있습니다. 남북이 서로 군대하고 전쟁무기로 맞서는 자리는 비무장지대가 아닙니다. 그냥 휴전선이며, 군대도 무기도 끔찍하도록 많습니다. 저는 1995∼1997년에 그곳에서 군대살이를 했고, 그무렵에 가시울타리 둘레에 자란 나무하고 풀을 없앤다면서 고엽제를 뿌리는 일도 했습니다. 그때에 군인은 위에서 시키니 뿌릴 뿐이었고, 그런 것을 뿌리면 땅에 얼마나 어떻게 망가지는가를 거의 다 몰랐습니다. 그러나 이뿐이 아니에요. 비무장지대 아닌 ‘완전무장지대’에서는 해마다 쇠가시울타리를 새로 쳤어요. 예전 쇠가시울타리는 걷어내지 않습니다. 그냥 내버려둡니다. 대인지뢰도 해마다 새로 묻어요. 크레모아라는 무기도 해마다 새로 묻고, 예전 것을 그냥 내버립니다.


  우리는 이 대목을 얼마나 알거나 느낄까요? 나라에서 오래도록 쉬쉬한 이런 이야기는 언제쯤 낱낱이 밝혀지면서 잘잘못을 말끔히 푸는 길로 갈 만할까요?


  참말로 우리는 모름쟁이입니다. 교과서에 안 적힌 이야기가 대단히 많습니다. 숱한 인문책에서 안 건드리는 이야기도 무척 많습니다. 《우리는 자연의 일부입니다》 같은 책에서 다루는 이야기는 아주 조그마한 조각입니다.


  우리가 스스로 숲인 줄 잊는다면 참하고 멀어집니다. 너랑 내가 스스로 숲일 뿐 아니라, 서로 다르면서 아름다운 숲이라고 느끼지 않는다면 차츰 거짓에 가까이 다가갑니다. 부디 길을 안 잃으면 좋겠어요. 이제라도 경제성장을 모조리 멈추고 스스로 숲으로 다시 날갯짓하는 길을 가기를 바라요.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