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 전파담 - 외국어는 어디에서 어디로, 누구에게 어떻게 전해졌는가
로버트 파우저 지음 / 혜화1117 / 2018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이웃으로 사귀려는 ‘외국말 배우기’가 되기를


숲노래 책읽기

인문책시렁 100



《외국어 전파담》

 로버트 파우저

 혜화1117

 2018.5.5.



아르메니아 문자는 비단 성경의 번역어로서만 역할을 한 것이 아니다. 자국어로 된 문학 활동을 풍성하게 해줬을 뿐만 아니라 인접 언어권의 문자를 만드는 데에도 좋은 사례가 되었다. (42쪽)


쿠릴라이 칸은 새로운 제국의 통치를 위해 누구나 배우기 쉬운 보편적인 언어와 문자가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했고, 파스파 문자는 그런 보편성을 염두에 두고 제국의 지배가에 의해 새롭게 만들어진 문자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 (65쪽)

 

이러한 기관들은 하나의 국가 안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언어와 방언들 대신 왕실의 언어를 국어로 만들고, 보급하고 관리하는 데 매우 중요한 기여를 했다. (86쪽)


기본적으로 선교 활동은 침략이라는 패러다임에서 이루어졌고, 언어를 배우는 이들과 가르치는 이들은 본질적으로 불평등한 관계에서 시작할 수밖에 없었다 … 차츰 자신들의 언어를 버리고 선교사들의 언어를 받아들이는 이들이 많아졌고,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선주민들의 언어는 사라지기 시작했다. (110쪽)


미국 백인 주류 계층은 선주민들에게 영어를 가르침으로써 그들의 언어를 말살시키려 했다. 이를 통해 선주민들 고유의 민족성을 없앤 뒤 이들을 효과적으로 통제하려 했다. (159쪽)


1930년대 식민지 조선의 문인들은 한국어와 일본어, 한문은 물론 영어와 프랑스어, 독일어 등을 작품에 활용하는 것에 매우 익숙했다. (234쪽)



  열두 살을 지나가는 큰아이가 한창 영어를 배웁니다. 올봄까지는 영어 배우기를 시큰둥히 여겼지만, 이웃나라 사람을 잔뜩 만나는 자리에 다녀오고는 스스로 하고픈 말을 할 수 없어 갑갑했다며 영어를 배우기로 다짐합니다.


  말이건 다른 살림을 배우건 언제나 발판이 있어야 할 테지요. 큰아이는 어머니한테서 빵굽기를 배운 뒤에 ‘가게에서 사다 먹는 빵’은 ‘집에서 스스로 구워서 먹는 빵’ 같은 즐겁고 아늑한 맛이 나지 않는다면서, 이제는 빵을 먹고 싶으면 스스로 반죽해서 부풀린 뒤에 스스로 굽습니다.


  여러 나라 말을 배우는 재미에 사로잡혀서 온갖 말을 재미나게 배웠다고 하는 분이 한국말로 쓴 《외국어 전파담》(로버트 파우저, 혜화1117, 2018)을 읽었습니다. 재미있어요. 일본말도 할 줄 알고 한국말도 할 줄 아는 이웃나라 사람이 한국말로 책을 썼다고 하니까요.


  다만 이 책은 ‘한국말로 썼다’기보다 ‘한글로 썼다’고 해야 올바르지 싶더군요. 글쓴님은 이른바 번역 말씨하고 일본 한자말로 책을 썼어요. 아무래도 글쓴님은 이녁한테 낯선 말을 익힐 적에 ‘어른 눈높이’에서 인문책이나 어른문학을 곁에 두고서 익혔을 테니, 한국 인문학이나 사회학에 두루 퍼진, 이러면서 아직 씻거나 가다듬거나 손질하지 못한 번역 말씨하고 일본 한자말로 이야기를 풀어냈을 테지요.


  어린이가 외국말을 익힐 적에는 아주 마땅히 그림책이나 동화책부터 가까이하기 마련입니다. 어른이 외국말을 익힐 적에는 어떠한가요? 푸름이라면 청소년문학을 가까이하면서 외국말을 익히겠지요? 어른도 어른문학이나 어른 인문책만 가까이하기보다는 그림책하고 동화책하고 동시집부터 가까이하면 좋겠어요. 그 나라 지식 사회 말도 익히면 좋겠습니다만, 처음에는 그 나라 수수한 살림자리 말을 익힐 적에 훨씬 좋을 테니까요.


  인문책 《외국어 전파담》은 글쓴님이 지구별 여러 가지 말을 배우는 동안 느끼거나 살폈던 대목을 대학 교재 얼거리로 풀어냅니다. 예부터 언제나 ‘세계 통치자나 권력자’가 제 나라 말글을 이웃나라로 퍼뜨려서 군사힘뿐 아니라 문화힘으로도 다스리려 했다는 대목을 조곤조곤 들려줍니다.


  그러고 보면 한국이란 나라에서도 중국말을 섬긴 대목, 또 일제강점기에 일본 제국주의가 일본말을 ‘국어(國語)’라는 이름으로 억지로 가르치려 하면서 한국말을 짓밟은 대목, 또 해방 뒤에 군정으로 들어온 미국을 앞세운 미국말(영국말보다는)이 확 퍼진 대목에 얽힌 뒷그늘을 읽을 만합니다.


  더 살피면 한국하고 일본 사이는 여러모로 얽힙니다. 일본이 군사힘으로 쳐들어온 적도 있으나, 일본은 조선한테서 이모저모 얻거나 나누려는 뜻으로 조선에 ‘조선말을 배우는 곳’을 세워 꾸준히 사람을 보내었다고 합니다. 한국에서는? 한국에서는 일본말을 배우려는 곳이 있었는지 알기는 어렵지만, 중국말을 섬기면서 지식 사회에서는 어릴 적부터 중국 말글을 배우도록 했어요. 한국도 꽤 예전부터 ‘외국말 배우기’를 한 셈입니다.


  한국으로 나들이를 오는 여러 나라 이웃은 한국말을 배우려 합니다. 이웃으로 사귀고 싶기에 이웃말을 배우려 하지요. 군사힘이나 문화힘이나 정치힘으로 사로잡거나 윽박지르려 하는 물결이 아닌, 수수한 자리에서 서로 이웃이 되려고 만나고 배우려는 ‘외국말 어깨동무’로 나아간다면, 이때에는 제 나라 말도 이웃나라 말도 서로 기쁘게 맞아들여서 배울 만하지 싶습니다. ‘외국어 전파’를 시키는 힘이 아닌, ‘어깨동무하는 사이가 되는 즐거움’으로 서로서로 이웃 삶자리를 담아낸 말을 나누는 길이 되기를 바라 마지 않습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