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하루 한끼도 안먹기 : “하루 한끼도 안먹기”를 한다. 지난 열한 달, 330일에 걸쳐서 돌아보니 이백쉰 날을 “하루 한끼도 안 먹기”로, 여든 날을 “하루 한끼 먹기”로 해왔는데, 어느 모로 보면 ‘좀 많이’ 먹은 셈이다. 열흘에 한 끼를 먹어도 배가 부를 뿐 아니라, 그냥 안 먹어도 늘 배가 부르니까. 둘레에서는 으레 걱정을 내뿜는다. 걱정이란 옷을 나한테 입히려 하지만, 언제나 그 걱정은 그들이 스스로 입는 옷이다. “어떻게 안 먹어요?” 하고 묻는데, 이렇게 물을 까닭조차 없다. 그분들 스스로 해보면 스스로 안다. 그분들 스스로 두려움하고 걱정으로 온몸을 친친 감아 놓고서 스스로 하나도 안 해보니 스스로 아무것도 모를 수밖에 없다. 아주 쉬운 보기를 든다면, 숲에 누가 물을 주지 않지만, 말라서 죽는 풀이나 나무란 없다. 풀하고 나무는 뿌리로 ‘밥(양분)’을 빨아들인다고들 말하던데, 그러면 또 생각해 보자. ‘뿌리로 어떻게’ 기운을 끌어올리는가? 사람은 어떻게 하면 된다는 뜻일까? 내 대꾸는 늘 하나일 뿐. “굳이 왜 먹어요?(어떻게 덩어리를 입에 넣어야 안 죽을 수 있다고 생각해요?)” 고요히 생각하고, 고요히 몸으로 하고, 고요히 다시 생각으로 옮기면 된다. 하나를 보태자면, 다른 사람들 걱정이나 눈치를 터럭만큼도 안 받아들이면 된다. 우리는 스스로 가려고 하는 길을 바라보면서 온숨결을 이 길에 내려놓으면 된다. 스스로 심는 씨앗을 스스로 거둔다. 스스로 ‘못하는걸!’이란 씨앗을 심으니 스스로 ‘못하네!’란 열매를 거둔다. 스스로 ‘하면서 즐겨야지!’란 씨앗을 심으니 스스로 ‘하면서 즐겁네!’란 열매를 거둔다. 책을 숱하게 읽어도 ‘실천하지 않거나 못하는’ 사람이 많다. 보라, 다 알지 않는가? 글쓰기 강의를 숱하게 들어도 글을 못 쓰는 사람이 수두룩하다. 글쓰기를 다룬 책을 읽어도 글을 안 쓰는 사람이 수두룩하다. 거의 모든 글쓰기 강의나 책은 부질없다. 그런 강의나 책으로 겉옷을 둘둘 싸맨들 글쓰기가 태어나지 않는다. 스스로 심을 씨앗이 없이 강의나 책만 판다면, 하루에 열끼를 먹어도 배가 고프기 마련이다. 스스로 심을 씨앗이 있기에 “하루 한끼도 안먹기”를 즐겁게 하면서 “가끔 이웃님하고 둘러앉아서 아무렇지 않게 먹어도 속이 부대끼지 않”을 수 있다. 2019.9.29. ㅅㄴ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