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에서 짓는 글살림

36. 치고 모으고 부끄럽고



  두 가지 말을 해보겠습니다. “보는 눈에 따라 달라집니다.”하고 “관점에 의해 변화합니다.”입니다. “보는 눈이 있다.”하고 “안목을 지녔다.”입니다. “눈이 좋다.”하고 “관찰력을 가졌다.”입니다. “해야 한다.”하고 “필요로 한다.”입니다. “처음 해봤다.”하고 “최초로 시도했다.”입니다. “네가 처음이야.”하고 “네가 시작이야.”입니다. “너한테서 비롯했어.”하고 “네가 시초야.”입니다.


  두 가지로 말을 할 줄 알기에 우리 생각을 환하게 나타낸다고 할 만할까요? 두 가지 말을 섞느라 막상 우리 생각을 환하게 나타내기보다는, 어떤 자리에 맞추느라 바쁘지는 않을까요?


  ‘염치불고’가 맞느냐 ‘염치불구’가 맞느냐를 놓고서 갈팡질팡하는 분이 꽤 있습니다. 이분을 바라보다가 넌지시 말씀을 여쭙니다. ‘창피하지만’이나 ‘부끄럽지만’이나 ‘남사스럽지만’이나 ‘낯부끄럽지만’이라 말하면 될 노릇 아니냐 하고요.


  겉은 여리거나 부드러워 보이지만 속이 단단하거나 곧은 사람을 두고 ‘외유내강’이라 일컫는 분이 있습니다. 그분은 ‘외유내강’이란 말을 알기에 스스럼없이 쓸 테지만, 모든 사람이 이 말을 알지는 않습니다. 무엇보다도 “겉은 부드러운데 속은 단단해”처럼 수수하게 말해도 넉넉합니다. 이 수수한 말씨가 길구나 싶으면 앞머리를 따서 줄이면 돼요. ‘겉부속단’이나 ‘겉여속곧’처럼.


  숱한 한자말은 ‘긴 이야기를 줄여서 담아낸 낱말’입니다. 한국말도 얼마든지 새롭게 줄여서 담아낼 수 있습니다. ‘혼밥’에 이어 ‘함밥’을 말하듯, ‘셀카’라면 ‘혼찍’이라 하면 됩니다. 여럿이 모여서 찍으면 ‘단체촬영’이 아닌 ‘함찍’이나 ‘모둠찍’이라 할 수 있습니다.


  어느 책을 읽는데 다음처럼 묶음표를 넣어 꽤 길게 쓰더군요. 굳이 이렇게 길게 쓸 까닭이 없다고 여기니 단출하게 다듬어 봅니다.


오늘의 대견한 나를 괄목상대刮目相對(눈을 비비며 다시 본다는 뜻으로, 한동안 못 본 사이에 상대방의 학문이나 인품이 놀랍게 발전하여 이전의 그 사람이 아닌 새 사람으로 보이는 경지를 말함)하는 여러분이 되십시오

오늘 대견한 나를 다시보는 여러분이 되십시오


  ‘괄목상대’라는 한자말을 아는 분은 이 말을 꼭 쓰고 싶었구나 싶어요. 그런데 그분은 이 말을 알더라도 이 말을 모를 이웃이 많겠구나 하고 여겨 묶음표를 치면서 잔뜩 덧붙여요. 이때에 생각해 봐요. “눈을 비비며 다시 본다”는 뜻이라면, 새롭게 ‘다시보다’라는 낱말을 지어서 쓰면 됩니다. ‘새로보다’라 해도 어울려요. ‘다시보다’나 ‘새로보다’라는 말을 지어서 쓰면 굳이 덧말을 안 달아도 알아들을 만합니다. 이런 한국말이 아직 사전에 안 실렸어도, 글을 읽거나 말을 들으면서 어린이도 곧 알아차릴 만하겠지요.


  사전을 들추면 ‘치부’라는 낱말을 네 가지 다루는데, 이 넷 가운데 셋을 사람들이 이모저모 쓰곤 하지만, 찬찬히 따지면 이 세 가지도 쓸 일이 없다 할 만합니다. 하나씩 짚어 보겠습니다.


 치부(置簿)

 그날 벌이의 치부가 끝나자 → 그날 벌이를 다 적자

 다소 모자라는 사람으로 치부된 → 적잖이 모자라는 사람으로 친

 그를 겁쟁이로 치부하였다 → 그를 무섬쟁이로 여겼다

 모두 과거사라고 치부하고 → 모두 옛일이라고 보고

 믿을 게 못 되는 것으로 치부한다 → 믿을 게 못 된다고 생각한다


  ‘置簿’라는 한자만 떡 볼 적에 알아차리지 못할 사람이 많습니다. 한글로 ‘치부’라 적어도 알아차리지 못할 사람이 많아요. 어떤 치부를 말하는지 헷갈릴 테니까요. 한국말로 ‘적다’를 쓰거나 ‘치다·여기다·보다·생각하다’를 쓴다면, 헷갈릴 일이 없습니다. 어린이도 알아차립니다.


 치부(致富)

 자수성가한 오늘의 치부가 불과 자기 당대에서 망할 줄 → 맨손으로 일군 이 돈이 고작 제 삶자리에서 끝장날 줄

 그것은 운용하기에 따라 치부와 직결돼 있는 → 이를 다루기에 따라 돈벌이와 이어진

 젊어서 치부하여 → 젊어서 돈을 모아


  ‘致富’라는 한자만 딱 보면서 알아차릴 분이 더러 있습니다. 그러나 한글로 ‘치부’라 적으면 이때에도 어느 치부인지 아리송하기 마련입니다. 이때에도 생각해 볼 노릇입니다. “돈을 모으다”나 “돈을 쌓다”라 하면 쉽겠지요? 때로는 ‘돈’이나 ‘목돈’이나 ‘큰돈’이라 나타내면 될 테고요.


 치부(恥部)

 치부를 드러내다 → 허물을 드러내다 / 부끄러움을 드러내다

 치부를 폭로하다 → 허물을 밝히다 / 뒷짓을 밝히다

 나의 치부 → 내 부끄러움 / 내 멍울 / 내 아픔 / 내 속살


  ‘恥部’라는 한자만 척 보면서 알아차릴 수도 있습니다만, 이때에도 한국말로 밝혀서 적으면 참말로 누구나 알아보겠지요. 하나하나 짚으면 좋겠어요. ‘허물’을 말하려는지, ‘부끄러움’을 말하려는지, ‘뒷짓’을 말하려는지, ‘멍울’이나 ‘아픔’이나 ‘속살’을 말하려는지 곰곰이 생각해서 말하면 좋겠어요.


  ‘치다’라는 한국말은 쓰임새가 매우 넓습니다.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갈무리해 보겠습니다.


치다 1 ← 강타, 타격, 구타, 타자(打字), 타자(打者), 제작, 수타, 연주, 공격, 공략, 공박, 논박, 절개, 절단, 제거, 동작, 전송, 전달, 함락

치다 2 ← 첨가, 첨부

치다 3 ← 설치, 구성

치다 4 ← 축산, 양돈, 앙계, 출산, 숙박

치다 5 ← 정리, 정돈, 청소

치다 6 ← 사고를 내다

치다 7 ← 인정, 가정(假定), 인식, 계산, 합하다, 합치다, 합산, 합계, 치부(置簿)

치다 8 ← 정제


  한국사람이 쓸 말은 한국말입니다. 한국으로 찾아와서 일하는 이웃도 한국말을 씁니다. 이때에 우리가 어떤 한국말을 차근차근 익혀서 함께 쓰는가를 돌아보면 좋겠습니다. 어쩌면 우리는 어릴 적부터 열두 해에 걸쳐 학교를 다니는 동안, 또 대학교까지 다니는 사이, 막상 한국말부터 제대로 안 배우거나 못 익히지 않았을까요? 한국말부터 제대로 모르는 판이라, 다른 외국말을 배울 적마다 힘들거나 막히지는 않을까요? 우리 입하고 손에서 흘러나오는 한국말이 어떠한 결인가를 하나씩 짚으면서, 우리 생각이나 마음이나 뜻을 어느 만큼 펴는가를 살피면 좋겠어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사전을 쓰는 사람.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읽는 우리말 사전 1·2·3》, 《우리말 동시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시골에서 책 읽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들을 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