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노래꽃
시를 씁니다 ― 53. 더듬다
둘레를 보면 ‘더듬는’ 몸짓을 썩 반기지 않습니다. 공놀이를 하는데 자꾸 더듬는다든지, 길을 가는데 헤매면서 이리 더듬 저리 더듬한다든지, 말을 하다가 이내 더듬더듬하면, 제대로가 아니라고 여겨요. ‘제대로가 아니다’란 ‘비정상’인 셈입니다. 우리는 공을 던지거나 받을 적에 잘 받을 수 있으나 놓칠 수 있어요. 우리는 할 말을 잃고서 멍하니 있기도 합니다. 틀림없이 길찾기가 알려주는 대로 갔는데 엉뚱한 데가 나올 수 있어요. 빈틈이 없이 해내니 대단하겠지요. 그러나 빈틈이 있으면서 좀 허술하거나 엉성하거나 모자란 탓에, 더 다스리고 애쓰고 힘내고 일어서고 배우고 가다듬고 익히고 기운을 내기도 합니다. 빈틈없이 태어난 나머지 무엇을 새롭게 하려는 생각을 못 하기도 한다면, 빈틈있이 태어난 뒤로 무엇이든 처음부터 스스로 지어야 하는구나 하고 느껴서 씩씩하게 부딪히고 넘어지고 일어서고 다시 맞서는 길을 가기도 합니다. 저는 어릴 적에 엄청난 말더듬이였습니다. 말더듬이를 놓고 놀림이나 따돌림이나 지청구를 숱하게 받으며 자랐습니다. 이 말더듬질을 고쳐서 ‘비정상을 정상’으로, 사람들이 보기에 ‘제대로가 아닌 몸을 제대로’가 되도록 하려고 했는데, 이제는 굳이 이러지 않습니다. ‘제대로’라는 자는 몇몇 사람 눈길로 따질 수 없으니까요. 무엇보다도 알몸이 되어 풀밭에 납작 엎드려 풀벌레를 지켜보면, 또 벌나비를 바라보면, 모두 ‘더듬이’를 살살 흔들며 더듬더듬 바람물결을 살피고 빛물결을 실컷 누리더군요. ㅅㄴㄹ
더듬다
혀가 짧아 더듬을 수 있어
더 천천히 말해 봐
느릿느릿 말해도 좋아
글로 적어 읽어도 돼
어두우니 더듬더듬할 만해
바닥에 손을 짚어 봐
차근차근 헤아리면 나와
촛불 켜면 잘 보이겠지
아직 낯설어 더듬었겠지
나도 예전엔 더듬었어
말도 더듬고 길도 더듬지
뭐, 요새도 으레 더듬고
그런데, 이거 알아?
나비랑 벌레한테 더듬이 있어
나비도 벌레도 더듬이 흔들며
마음으로 얘기하고 별빛을 듣는대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사전을 쓰는 사람.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읽는 우리말 사전 1·2·3》, 《우리말 동시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시골에서 책 읽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들을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