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요 3 - 한정식 사진집 한정식 사진집 3
한정식 지음 / 눈빛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진책시렁 59


《고요 3》

 한정식

 눈빛

 2015.11.2.



  나무껍질을 바라보면 온갖 모습이 떠오르는데 우리 마음에 흐르던 자국이곤 합니다. 나무빛은 나무마다 띠는 빛깔이면서 나무를 바라보는 우리 마음빛이기도 해요. 나무한테 다가가 손을 뻗으면, 줄기를 쓰다듬거나 잎을 쥐면, 꽃이나 열매를 살살 쓰다듬고 보면, 손끝을 거쳐 온몸으로 찌릿찌릿 뜨거운 기운이 퍼집니다. 이 기운이란 무엇일까 하고 헤아리면서 눈을 감아요. 얼마나 오랜 옛날부터 이 기운이 이 땅을 고루 덮었고, 우리는 이 기운을 먹으면서 목숨을 이었을까요. 《고요 3》은 “절에서 찾은 고요”를 사진으로 담았다고 해요. 한정식 님은 나이가 들수록 고요를 더 찾아나서곤 한다며, 절집에서, 절집으로 가는 길에서, 나무나 돌에서 고요한 이야기를 끌어내려 합니다. 복닥거리는 서울하고는 사뭇 다르다 싶은 고요라 할 수 있으나, 어느 모로 보면 서울이란 터는 외려 고요하고 맞물립니다. 시끌벅적한 길이라 나무수다를 못 듣습니다. 왁자지껄한 마을이라 바위수다를 못 들어요. 참고요가 억눌리다 보니, 자동차랑 기계가 쉴 적에 조용한 결을 못 견디는 도시 이웃이 많습니다. 어쩌면 고요는 절집 아닌 서울에서 찾을 노릇 아닐까 싶습니다.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