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7

학과 후배나 동아리 후배를 데리고 헌책집에 가면, 후배들은 헌책집에서 단돈 500원짜리 손바닥책이나 단돈 1000원짜리 인문책 하나조차 못 산다. “야, 이 책 좋아 보인다며. 그런데 1000원이 없어서 책을 못 사니?” “아니, 그게 아니라 …….” 후배들이 읽어 보기를 바라면서 5000원어치 헌책, 거의 열 권에 이르는 책덩이를 안겨 준다. 1998.5.20.


책 8

책값이 비싸다고 말하는 사람치고 살림을 알뜰히 꾸리는 사람을 못 본다. 책값 오천 원이나 만 원조차 못 쓰는 사람이 밥값 몇 만 원이나 술값 십만 원은 잘도 쓴다. “한 끼쯤 굶어도 되니, 그 돈으로 책을 사면 어떨까요?”라든지 “술은 안 마셔도 되니, 그 돈으로 값진 책을 장만하면 어떨까요?” 하고 물으면 “어떻게 밥을 한 끼 굶니! 책을 안 보지!” 하고 대꾸들 한다. 누가? 출판사 편집부 일꾼이, 출판사 사장이, 작가들이, 기자들이 ……. 2000.4.8.


책 9

이오덕 어른이 얼마나 갖가지 책을 읽고 살피며 배웠는가 하고 돌아본다. 가리는 책이 없이 골고루 읽으셨다. 한국책이 없으면 일본책을 챙겨 가면서 읽으셨네. 배움길이란 이렇네. 모두 열어 놓고서 배울 줄 아는 품이어야 하네. 배웠기에 다시 배우고, 배우기에 더 배우며, 배우는 만큼 새로 배우려 하네. 그렇다고 책으로만 배울 수 있지 않다. 어디에서나 마음을 제대로 열고서 모두 가로지를 수 있도록 배우는 길이다. 이오덕 어른이 말한 ‘삶을 가꾸는 글쓰기 교육’이란 ‘삶을 가꾸는 배움길’이란 뜻이라고 배운다. 2004.1.1.


책 10

내가 이날 이때까지 짊어지며 살아온 책덩이로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알지 못했다. 지난 2006년 한 해는 충주하고 서울 사이를 이레마다 자전거로 오가면서 서울에서 책을 200권씩 자전거수레에 잔뜩 싣고 돌아오는 길이었는데, 이제 앞길이 어렴풋이 보인다. 인천 배다리 아벨서점 책지기 아주머니가 인천이란 고장에서 배다리라는 터가 ‘사람이 숲이 되어 살아가는 숨결이 빛나는 터’가 되도록 한손을 거들어 주기를, 아니 나 스스로 무언가 하나 해보기를 바라는 목소리를 듣고 다짐을 한다. 그래, 도서관을 하자, 내가 읽고 갈무리한 이 책을 ‘공공도서관’이 아닌 ‘트인책터’로 가꾸어, 숲을 만지는 책을 새롭게 느끼고 익히는 보금자리를 꾸며 보자. 이름은 도서관일 테지만, 책이 책다운 모습이 무엇인가를 넌지시 이야기하는 잔치판을 벌여 보자. 2007.2.7.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삶과 글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