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글리시 찬가 - 언어괴물 신견식의 뿌리와이파리 한글날
신견식 지음 / 뿌리와이파리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으로 삶읽기 396


《콩글리시 찬가》

 신견식

 뿌리와이파리

 2016.10.4.



일상은커녕 전문 영역에서도 과연 잘 쓸까 싶은 희한한 외래어가 국어사전에 꽤 많다. (209쪽)


국제적 의사소통을 너무 영어에만 맞추는 것이 아닌가 생각해 봤으면 한다. (231쪽)


한국어사전은 용례가 너무 모자라고 사용 시기도 거의 표시해 두지 않는다. 조선시대 어휘나 돼야 옛말이라고 나올 뿐, 이를테면 20세기 초중반과 지금은 뜻이 달라진 말에 관해 구체적으로는 거의 알 수가 없다. (333쪽)



《콩글리시 찬가》(신견식, 뿌리와이파리, 2016)라는 책이름에서 엿볼 수 있듯, 한국사람이 어설피 들여왔지만 이래저래 퍼진 한국영어를 그냥그냥 쓰자고 하는 줄거리를 다룬 책이다. 이러면서 한국영어 말밑을 찬찬히 짚어서 알려주는 구실을 한다. 글쓴이는 번역을 꽤 하는구나 싶은데, 맞춤법이나 적기법 때문에 골치를 앓지 싶다. 한국은 국립국어원이 온누리 여러 말을 영어 틀에 가두려고 하니 번역을 할 적에 늘 애먹을 수밖에 없다. 네덜란드말을 배운 사람이라면 알 테지만 네덜란드에는 ‘반 고흐’가 없다. ‘환 호흐’가 있을 뿐이다. 한글로 적자면. ‘반 고흐’는 어디에서 뚝 떨어진 적기법일까? 한글이 엄청나게 훌륭한 글이라면 굳이 영어라는 틀에 갇혀서 온누리 여러 말을 적어야 할 까닭이 없다. 그리고 우리는 영어만 배워야 하지도 않는다. 한국말도 온누리 여러 말도 모두 제대로, 즐겁게, 똑똑히, 환하게, 곱게 배워서 나눌 수 있기를 빈다. 그나저나 ‘콩글리시를 그냥 쓰든 말든’ 한국사람이라면 한국말이나 한국 말씨를 더 깊고 넓으며 제대로 배워야지 싶다. 글을 쓰거나 옮기는 일을 한다면 더더욱 한국말부터 제대로 익힐 노릇 아닐까? 글쓴이는 이 대목에서 좀 무딘 듯하다.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