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 없애야 말 된다
비과학적
비과학적 이론 → 과학이 아닌 이론 / 과학을 벗어난 이론
비과학적 방법 → 과학과 먼 길 / 과학과 동떨어진 길
비과학적인 태도 → 과학이 아닌 몸짓 / 과학하고 등진 몸짓
‘비과학적(非科學的)’은 “과학적인 근거가 없는. 또는 그런 것”을 가리킨다고 하는데, ‘非-’랑 ‘-的’을 붙이기보다는 “과학이 아닌”이나 “과학하고 먼”이나 “과학을 벗어난”이나 “과학하고 동떨어진”처럼 쓰면 됩니다. 때로는 ‘뜬금없는·뚱딴지·바보같은·터무니없는·엉터리’라든지 “말이 안 되는”이나 “믿을 수 없는”이나 ‘거짓·거짓스러운’이나 ‘틀린·옳지 않는·맞지 않는’이라 할 수 있습니다. ㅅㄴㄹ
비과학적이라 솔직히 참을 수가 없어
→ 과학하고 동떨어져서 더 참을 수가 없어
→ 뚱딴지 같아서 참말 참을 수가 없어
→ 엉터리 같아서 도무지 참을 수가 없어
→ 엉터리라서 영 참을 수가 없어
→ 바보스러워서 아주 참을 수가 없어
→ 말도 안 되니까 이제 참을 수가 없어
《내 인생의 알파벳》(배리 존스버그/정철우 옮김, 분홍고래, 2015) 53쪽
물고기가 감정을 느낄 수 있다는 생각은 최근까지도 비과학적인 것으로 간주되었기 때문에
→ 물고기가 마음을 느낄 수 있다는 생각은 요새까지도 과학이 아니라고 여겼기 때문에
→ 물고기가 느낄 수 있다는 생각은 요즈막까지도 터무니없다고 보았기 때문에
→ 물고기가 느낄 수 있다는 생각은 요즘까지도 헛소리라고 보았기 때문에
《물고기는 알고 있다》(조너선 밸컴/양병찬 옮김, 에이도스, 2017) 129쪽
위 세 가지 사례는 과학적이기도 하고 비과학적이기도 하다
→ 이 세 가지는 과학이기도 하고 과학이 아니기도 하다
→ 이런 세 보기는 과학으로 맞기도 하고 틀리기도 하다
→ 이 세 가지는 옳기도 하고 뜬금없기도 하다
→ 이런 세 보기는 틀림없기도 하고 아니기도 하다
→ 이 세 가지는 참이기도 하고 거짓이기도 하다
《바림》(우종영, 자연과생태, 2018) 26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