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를 씁니다 ― 12. 바보



  아이들이 서로 놀리려고 하는 말인 ‘바보’를 생각해 보기로 합니다. 아이들은 언제부터 ‘바보’란 말로 서로 놀리려 했을까요? 이 말을 뱉으면서 혀를 쭉 내미는 아이들은 누구한테서 이 말씨를 배웠을까요? 바보라는 이름은 참말로 놀림을 받을 만한지, 바보라는 이름이 붙는 사람은 참으로 얼이 나갔는지를 생각해 봅니다. 그리고 이를 글로 옮겨서 쓰고, 아이들하고 이 글을 나누면서 물어봅니다. 너희가 서로 바보라는 말을 뱉으면서 놀리는 뜻은, 서로 그만큼 좋아해서 어쩐지 더 놀리고 싶니? 아니면 서로 미워하는 마음으로 안 되기를 바라는 뜻으로, 아무것도 안 배우고 안 자라겠다는 뜻이니? 사회라는 곳에서도 으레 바보를 말합니다. 한길을 걷는 사람도 바보라 하고, 돈이나 이름값에 얽매이지 않는 사람도 바보라 하더군요. 밥그릇을 안 챙기려는 사람도, 이웃하고 스스럼없이 널리 나누려는 사람도, 사랑이 가득한 손길로 훨훨 날듯이 홀가분한 사람도 사회에서는 곧잘 바보라고 가리켜요. 왜 바보는 여러 자리에 다르게 쓰는 말이 될까요? 우리는 얼마나 바보가 아닌 사람으로서, 때로는 바보스러운 사람으로서 살아갈까요? 모르거나 못하기 때문에 바보라고는 느끼지 않습니다. 아직 잘 모를 뿐 앞으로 널리 배우고 넉넉히 나누는 길을 걸을 사람이 바보이지 싶습니다. 그래서 바보라는 글이 술술 흘러나옵니다. 꽃노래를 부르는 바보로 살려고, 바람을 타고 별마실을 다니는 바보로 살림하려고, 어른다운 어른으로 우뚝 서는 바보로 사랑하려고요. ㅅㄴㄹ



바보


아직 잘 모르니 바보

엉뚱하게 여기니 바보

배우려 하지 않아 바보

제대로 할 마음 아니라 바보


그렇지만

다른 바보가 있으니

꿈만 꾸는, 꿈만 노래하는

사랑만 하는, 사랑길만 걷는


스스럼없이 어깨동무하는

누구하고도 상냥하게 얘기하는

꽃 벌레 바위하고 수다 떠는

바람을 구름을 타고 노는


어른이 되어도 해맑은

걱정 아닌 즐거움으로

하루를 마음껏 가꾸는

슬기로운 바보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