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우리는 어떤 말을 쓰는가

[오락가락 국어사전 22] 흔히 쓰는 말을 제대로 알아야



  오늘 우리가 쓰는 말은 오늘 우리가 짓는 삶이니, 삶을 찬찬히 가다듬을 줄 알면 말을 찬찬히 가다듬을 수 있습니다. 늘 쓰는 말을 제대로 알 적에 모든 삶을 제대로 읽을 수 있어요. 늘 쓰는 말, 곧 흔히 쓰는 말을 제대로 모른다면 삶을 이루는 바탕이 무엇인지 제대로 바라보거나 느끼거나 알기 어려워요. 밑말이라 할 바탕말을 차근차근 돌아보면 좋겠습니다.



노리개 : 1. 여자들이 몸치장으로 한복 저고리의 고름이나 치마허리 따위에 다는 물건. 주로 금, 은, 보석 따위에 명주실을 늘어뜨린 것으로, 단작노리개와 삼작노리개 따위가 있다 ≒ 패물(佩物) 2. 심심풀이로 가지고 노는 물건 ≒ 농구(弄具) 3. 장난삼아 데리고 노는 여자를 낮잡아 이르는 말

꾸미개 : 1. 옷, 돗자리, 망건 따위의 가장자리를 꾸미는 헝겊 오리 2. 무엇을 곱게 꾸미는 데 쓰는 물건

패물(佩物) : 1. 사람의 몸치장으로 차는, 귀금속 따위로 만든 장식물. 가락지, 팔찌, 귀고리, 목걸이 따위가 있다 ≒ 주패(珠佩) 2. = 노리개 3. [북한어] 크게 쓸모가 없는 하찮은 물건

장식물(裝飾物) : 장식에 쓰는 물건

액세서리(accessory) : 복장의 조화를 도모하는 장식품. ‘노리개’, ‘장식물’, ‘치렛감’으로 순화

치렛감 : 치레로 삼는 감



  ‘노리개·꾸미개·치렛감’이란 낱말이 있습니다. 세 낱말은 말꼴에서 드러나듯 태어난 바탕이 다릅니다. 그런데 사전은 ‘노리개’를 ‘몸치장(-治粧)’을 할 적에 쓴다고 풀이해요. ‘치장 = 꾸밈’입니다. 이런 말풀이는 고쳐야겠습니다. 이러면서 ‘패물 → 노리개’로, ‘액세서리 → 꾸미개. 치렛감. 노리개’로 다룰 노릇입니다.



빈터 : = 공터

공터(空-) : 집이나 밭 따위가 없는 비어 있는 땅 ≒ 공지(空地)·빈터·터

공지(空地) : 1. = 공터. ‘빈 땅’으로 순화 2. 도시에서 시민의 보건이나 안녕을 위하여 일부러 남겨 놓은 일정한 터 ≒ 공처(空處)·휴한지

공처(空處) : 1. 임자 없는 빈 땅 2. = 공지

휴한지(休閑地) : 1. 일정 기간 동안 경작을 하지 아니하고 묵히고 있는 토지 2. = 공지(空地)

빈땅 : x

노는땅 : x

노는터 : x

묵은땅 : 일구거나 쓰지 아니하고 묵어 있는 땅

묵밭 : = 묵정밭

묵터 : x

묵정밭 : 오래 내버려 두어 거칠어진 밭 ≒ 묵밭·진전(陳田)



  사전은 ‘빈터’에 풀이말을 달아야 올바릅니다. ‘공터·공지·공처’는 “→ 빈터”로 다루면 됩니다. ‘휴한지’는 “→ 노는땅. 노는터. 빈땅”으로 다룰 만하고, ‘묵터’ 같은 낱말을 새로 써 볼 만합니다. 그러나 사전은 ‘노는땅’도 ‘빈땅’도 ‘묵터’도 아직 올림말로 삼지 못합니다.



예삿일(例事-) : 보통 흔히 있는 일 ≒ 예상일

예사(例事) : 보통 있는 일 ≒ 상사(常事)·예상사

보통(普通) : [어찌씨] 일반적으로. 또는 흔히

흔히 : 보통보다 더 자주 있거나 일어나서 쉽게 접할 수 있게



  “보통 흔히 있는 일”로 ‘예삿일’로 풀이하지만, 이는 겹말풀이입니다. 더구나 ‘예사’에서 ‘사(事)’가 ‘일’을 가리키니, 이 낱말부터 겹말이지요. ‘예삿일’은 사전에서 털어내고, ‘예사’는 “→ 흔한 일”로 다루어야지 싶습니다. ‘보통’은 “→ 흔히”로 다루면 됩니다.



현(現) : 현재의. 또는 지금의

현재(現在) : 지금의 시간

지금(只今) : 말하는 바로 이때

이때 : 바로 지금의 때



  사전을 보면 돌림풀이가 참 흔합니다. ‘현·현재’는 ‘지금’으로, ‘지금’은 ‘이때’로, ‘이때’는 다시 ‘지금’으로 갑니다. ‘현·현재’하고 ‘지금’은 “→ 이때. 이제. 오늘. 오늘날. 요즈음. 요새”로 다루면 됩니다. ‘이때’ 말풀이는 손질해야겠습니다.



맞서다 : 1. 서로 마주 서다 2. 서로 굽히지 아니하고 마주 겨루어 버티다 3. 어떤 상황에 부닥치거나 직면하다.

저항하다(抵抗-) : 어떤 힘이나 조건에 굽히지 아니하고 거역하거나 버티다

버티다 : 1. 어려운 일이나 외부의 압력을 참고 견디다 2. 어떤 대상이 주변 상황에 움쩍 않고 든든히 자리 잡다 3. 주위 상황이 어려운 상태에서도 굽히지 않고 맞서 견디어 내다 4. 쓰러지지 않거나 밀리지 않으려고 팔, 다리 따위로 몸을 지탱하다 5. 무게 따위를 견디다 6. 물건 따위를 쓰러지지 않도록 다른 물건으로 받치다 7. 자기의 주장을 굽히지 않다



  ‘맞서다’는 여러 뜻이 있는데 둘째 뜻을 ‘버티다’로 풀이하면 ‘버티다’는 어떻게 다루어야 할까요? 한자말 ‘저항하다’는 ‘버티다’로 풀이하는데, 때로는 ‘맞서다’하고 맞물립니다. 그래서 ‘저항하다’는 “→ 맞서다. 버티다”로 다룰 만하고, ‘맞서다’ 뜻풀이는 손질해야겠습니다.



화분(花盆) : 꽃을 심어 가꾸는 그릇 ≒ 꽃분

꽃분(-盆) : = 화분(花盆)

꽃그릇 : 1. 꽃이 그려져 있는 예쁜 그릇 2. [북한어] 꽃 모양의 그릇



  꽃을 심어 가꾸는 그릇은 어떤 이름으로 가리키면 어울릴까요? 바로 ‘꽃그릇’입니다. 밥을 담아 밥그릇, 국을 담아 국그릇입니다. ‘그릇’이란 낱말을 쓰면 됩니다. ‘꽃분’도 ‘화분’도 “→ 꽃그릇”으로 다룰 노릇입니다. 이러면서 ‘꽃그릇’ 풀이를 새로 더 실어야겠어요.



꽃가루 : [식물] = 화분(花粉)

화분(花粉) : [식물] 종자식물의 수술의 화분낭 속에 들어 있는 꽃의 가루. 바람, 물, 곤충 따위를 매개로 암술머리에 운반된다 ≒ 꽃가루·예분



  사전은 ‘꽃가루 = 화분’으로 다루지만 ‘화분 → 꽃가루’로 다루어야 마땅합니다. 그리고 ‘예분’을 비슷한말이라 싣지만 이런 한자말을 쓸 일은 없어요.



고사(古寺) : 오래된 절 ≒ 고찰(古刹)

옛절 : x



  오래된 절이면 ‘옛절’이라 하면 되는데, 사전에 ‘옛절’이 없습니다. ‘고사·고찰’만 올림말이로군요. 이런 한자말은 “→ 옛절”로 다루면 됩니다.



몸풀기 : 1. [운동] = 준비 운동 2. 일을 본격적으로 하기 위해서 간단하고 쉬운 일을 먼저 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준비운동(準備運動) : [운동] 본격적인 운동이나 경기를 하기 전에, 몸을 풀기 위하여 하는 가벼운 운동 ≒ 몸풀기·워밍업·유도 운동·준비 체조

워밍업(warming-up) : 1. [운동] = 준비 운동. ‘준비 운동’, ‘준비’로 순화 2. 어떤 일을 본격적으로 하기에 앞서 시험 삼아 해 보는 일

스트레칭(stretching) : 몸과 팔다리를 쭉 펴는 것



  사전에 ‘몸풀기’가 있으나 ‘워밍업’은 ‘준비운동’으로 고쳐쓰라고만 나와요. ‘스트레칭’이란 영어를 두고는 딱히 말이 없습니다. ‘준비운동·워밍업·스트레칭’은 “→ 몸풀기. 팔다리풀기”로 다루면 됩니다. ‘몸풀기’ 말고 ‘팔다리풀기’라든지 ‘다리풀기·허리풀기’처럼 써 볼 만해요. ‘-풀기’라는 낱말을 뒷가지로 삼으면 어디를 어떻게 푸는가를 잘 나타낼 수 있습니다.



교대(橋臺) : [건설] 다리의 양쪽 끝을 받치는 기둥 ≒ 갓기둥·끝기둥·다리받침·다리턱

갓기둥 : [건설] = 교대(橋臺)

끝기둥 : [건설] = 교대(橋臺)

다리받침 : [건설] = 교대(橋臺)

다리턱 : [건설] = 교대(橋臺)



  다리에 세우는 기둥은 ‘다리기둥’이라 하면 됩니다. 그런데 ‘갓기둥·끝기둥·다리받침·다리턱’ 같은 낱말이 있다고 하는군요. 이렇게 쉬우며 알맞게 쓰는 낱말이 있다면 제대로 써야지요. ‘교대’ 같은 한자말로는 무엇을 가리키는지 아리송합니다. ‘교대’는 “→ 갓기둥. 끝기둥. 다리받침. 다리턱”으로 다루면 됩니다.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