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인이 되는 중입니다 - 초등 1학년, 은경샘의 교실 이야기 시시콜콜 교육학 1
최은경 지음 / 교육공동체벗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문책시렁 15


《지구인이 되는 중입니다》

 최은경

 교육공동체벗

 2018.5.15.



선생님은 반짝이들과 3월 한 달을 지냈어. 말도 안 통하고, 하고 싶은 건 얼마나 많은지, 툭하면 물이랑 우유를 바닥에 쏟아 그림을 그리고, 책으로 우주선을 접었어. (9쪽)


이렇게 따뜻한 웃음을 나누는 한때를 떠올린다. 그러면 시가 그 둘을 싸안으며 내일 다시 학교로, 일터로 나갈 힘을 주지 않을까? (27쪽)


지금까지 아이에게 책 한 권 읽어 줄 생각을 못 했다고 한다. 집에 와서는 쉬고 싶고 쓰러져 자다가 밥 먹고 다시 일 나가는 생활을 계속 했다고 한다. 1학년이 되면서 선생님이 읽어 주는 그림책을 가져와 동생에게 읽어 주는 걸 보고 너무 놀랐다고 했다. (49쪽)


상담을 마친 교실에서 아이들이 쓴 글과 그림을 매만지고 자세히 보았다. 우리 아이들이 찾은 소리는 작고 여린 것들이 내는 소리와 자연의 소리가 대부분이다. 가만히 귀 기울여야 간신히 들리는 소리도 있다. (62쪽)



  어른 눈으로 아이를 읽어도 될까 아리송하곤 합니다. 어른들이 어른 눈으로 아이를 읽으려 한다면, 아이들도 아이 눈으로 어른을 읽어도 되겠지요? 그런데 어른들은 아이들을 어른 눈으로 읽으려고만 할 뿐, 막상 아이들이 아이 눈으로 어른을 읽으면 매우 꺼리거나 싫어하기 일쑤입니다.


  오늘 우리 삶터는 오롯이 어른들 판입니다. 정치도 경제도 평화도 평등도 민주도 교육도 문화도 복지도 하나같이 어른들 눈높이에서 짜거나 엮어서 펴기 마련이에요. 그래서 때때로 생각해 보곤 합니다. 어른이 지어서 펴는 삶터가 아닌 아이가 가꾸어서 나누는 삶터로 바꾸어 본다면 어떠할까 하고요.


  《지구인이 되는 중입니다》(최은경, 교육공동체벗, 2018)를 읽으면서 반갑기도 하고 서운하기도 합니다. 이제 갓 초등학교에 들어가는 아이들을 마주하면서 삶을 새롭게 읽는 교사 한 분이 적바림한 일기를 읽는 내내, 이 아이들이 ‘굳이 지구사람이 되어야 하나?’ 싶더군요. ‘지구사람이 되어 가는 아이들’이 아닌 ‘별사람으로, 우주사람으로 오롯이 싱그럽고 홀가분하게 자라도록’ 하는 배움자리가 있으면 참 아름답지 않을까 하고 느껴요.


  교사 최은경 님은 초등학교 1학년 어린이를 ‘반짝이’라는 이름으로 부릅니다. 이 아이들이 하도 반짝거려서 ‘반짝이’라는 이름을 붙이셨구나 싶은데, 아이들은 몸짓으로도 눈망울로도 생각으로도 손길로도 말씨로도 언제나 반짝인대요. 그렇지만 어른 삶터 틀에 맞추도록 가르쳐야 하다 보니 아무래도 아이들이 너무 힘들거나 벅차기 일쑤라지요.


  아이들이 삶터를 새로 가꿀 적에도 돈을 내세울까요? 아이들이 삶터를 사랑스레 돌볼 적에도 이름값을 앞세울까요? 아이들이 삶터를 넉넉히 북돋울 적에도 주먹다짐이나 전쟁무기를 쓸까요?


  아이들이 지구사람으로 바뀌면서 어른들 곁에 있는 까닭이라면, 어쩌면 어리석은 어른들한테 맑은 숨을 깨닫게 해서 이 터전에 사랑이 흐르도록 살살 건드려 주려는 뜻은 아닐까 하고 헤아려 봅니다.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