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집놀이터 191. 몸에 맞는 옷
몸에 맞는 옷을 찾기는 쉬울까? 어쩌면 쉽다. 그러나 마흔 살에 이르도록 ‘내 몸에 맞는 옷이란 뭐지?’ 하고 헤맬 수 있다. 어떤 사람은 다른 누가 ‘쉰이나 예순 나이에 짧은치마를 입는다’며 손가락질을 하거나 흉을 본다. 그러나 쉰이나 예순 나이에 이르러 비로소 ‘내 몸에 맞는 옷’을 찾았기에 그 나이에 짧은치마를 입을 수 있다. 이이가 할머니이든 할아버지이든 말이지. 스스로 찾은 제 몸이 기뻐서 다른 사람 눈을 아랑곳하지 않으면서 ‘몸을 누릴’ 수 있다면, 이이는 다른 사람 눈치가 아닌 제 마음길하고 마음속하고 마음결을 바라보면서 하루를 새롭게 걷는 배움길이 된다. 제 몸에 맞는 옷이 아닌, 다른 사람 눈치에 따라서 맞춘 옷이라면, ‘우리 몸이 아닌 다른 사람 눈에 맞춘 옷’이라면, 이런 옷이 우리한테 좋을까? 기쁠까? 알맞을까? 아름다울까? 사랑스러울까? 아마 겉보기로는 멋져 보일 수 있겠지. 그래서 ‘그럴싸하다·그럴듯하다’ 같은 낱말이 있다. 겉보기로는 멋진 듯하지만 속으로는 어울리지 않는 옷을 걸쳤다는 뜻이다. 우리 몸에 맞는 옷은 스스로 헤매면서 찾는다. 누구는 다섯 살부터 찾을 테고, 누구는 쉰 살에 이르러 찾는다. 또 누구는 백 살에 이르러 찾을 텐데, 백쉰 살이 되어도 그만 못 찾을 수 있다. 헤매는 길은 어렵거나 아프거나 고되지 않다. 헤매면서 길을 찾으니, 길을 찾은 뒤에 지을 엄청난 웃음꽃을 생각하면서 우리 옷을, 우리 몸을, 우리 마음을 찾자.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배움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