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을 수 있으면 바른다



  화장품이나 비누는 무엇으로 만들었을까요? ‘짓지’ 않고 ‘만든’ 화장품이며 비누이며 샴푸는 어떤 화학약품이나 화학소재로 다루었을까요? 하장품이나 비누나 샴푸를 입에 넣어 먹을 만할까요? 몸속으로 넣을 만하지 않은 이런 여러 가지를 섣불리 얼굴이나 살갗이나 머리카락에 바르거나 묻히지는 않나요? 우리는 입뿐 아니라 살갗으로도 먹습니다. 사람이 살갗으로 여러 가지를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핵발전소처럼 방사능이 가득한 곳에 온몸을 둘둘 감싸서 들어가지 않습니다. 사람이 살갗으로 아무것도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배기가스나 공해로 매캐한 곳에서 입가리개만 할 테지만, 먼지가 자욱한 날에는 얼굴뿐 아니라 손발까지 꽁꽁 싸매지요. 몸속으로 넣어도 된다면 입으로 넣어도 될 뿐 아니라 얼굴이나 살갗에 발라도 된다는 얼거리를 살필 줄 안다면, 오늘날 사람들이 화장품이나 비누나 샴푸를 제대로 가리거나 물리칠 수 있겠지요. 그러면 이다음으로 책을 헤아려 볼 노릇입니다. 우리는 아무 지식이나 정보를 머리에 담아도 될까요? 아무 이야기나 그냥 읽어도 될까요? 많이 팔려서 사람들이 널리 읽는다는 책을 우리 스스로 꼼꼼히 살피지 않고서 그저 받아들여도 될까요? 신문이나 방송에 흐르는 이야기를 곧이곧대로 믿어도 될까요? 아무것이나 살갗에 바를 수 없듯, 눈을 거쳐 머리로 들어와 마음을 움직일 이야기를 담은 책 하나를 섣불리 손에 쥘 수 없습니다. 더욱이 아이들한테 아무 책이나 선뜻 내밀 수 없지요. 삶을 슬기롭게 읽는 이야기를 다루지 않은 책을, 말을 말답게 다스리지 않은 책을, 사람이 사람으로서 사랑으로 삶을 짓는 길을 들려주지 못하는 책을, 어른도 아이도 모조리 물리치거나 걷어치울 줄 알아야지 싶습니다. 2018.7.2.달.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책 언저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